2011-06-24 | 무지의 ‘즐겨요! (  )의 에너지를’

Editor’s Comment

3월 11일의 대지진과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무지(MUJI)는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일본이 스마트 에너지 국가로 나아갈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요. 그리고 ‘즐겨요! (  )의 에너지를!’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에게 지금의 어두움을 조금이나마 밝혀줄 에너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물었죠. 디자이너들이 보내온 괄호 속 단어와 그에 관한 스케치를 다시 만나봅니다.

일본에 지진과 쓰나미가 일어난 지 어느 새 석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삶이 비극의 영향 아래 있다. 보다 근심스러운 것은 원전 사고의 여파이다. 이미 문제는 해당 지역을 넘어섰고 심지어 일본이라는 한 나라에 머무르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일본 대지진은 원자력 에너지의 안전 신화를 무너뜨렸다. 어쩌면 이것이 대체 에너지를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 무지(MUJI)는 그럴 수 있다고 믿는다. 

6월 20일 무지가  “즐기세요! (     ) 에너지를”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웹사이트를 열었다. 무지는 세계 여러 디자이너들에게 에너지와 관련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요청하였다. 문구의 빈 칸마다 각자가 생각하는 에너지의 상이 들어 있다. 생활 속 실용적인 에너지 절약 제안에서 마음을 위로하는 따뜻한 생각까지, 에너지에 관한 다양한 형용의 생각들이 모였다. 아래 무지 랩스(MUJI Labs) 홈페이지에서 그 내용들을 살펴보시길. 

www.muji.net/lab/energy/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의미 있는 해체: 버려지는 스카프의 변신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싱가포르의 텍스타일 디자이너 애너벨 포(Anabel Poh)가 생산과정에서 버려지는 스카프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의미...

2010-09-16 | 타이포그래픽 지도 벽화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 디자이너 폴라 셰어는 1990년대부터 세상을 타이포그래픽 지도의 형태로 그려왔습니다. 2010년에는 이를 실내 벽화의 형태로도 선보였죠. 퀸스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의 아트리움 벽을 장식한 것은 그가 특히 퀸스에 초점을 맞춰 그린 뉴욕의 지도였습니다. 벽화 작업을 위해 지도 원화를 100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누고, 이를 패널에 하나하나 확대하여 비춰 그 모습 그대로 화가가 손수 그려냈습니다. 

2008-10-20 | 필름 카메라의 귀환

무엇인가가 주류로 부상할 때, 그것에 의해 밀려난 것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된 시기와 클래식 카메라, 로모, 토이 카메라 등이 인기를 누린 시기가 비슷했던 것처럼요. 2008년 일본의 슈퍼헤즈가 내놓은 ‘블랙버드, 플라이’도 그러한 맥락에 있었던 제품이었습니다.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