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4 | 무지의 ‘즐겨요! (  )의 에너지를’

Editor’s Comment

3월 11일의 대지진과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무지(MUJI)는 생각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일본이 스마트 에너지 국가로 나아갈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요. 그리고 ‘즐겨요! (  )의 에너지를!’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에게 지금의 어두움을 조금이나마 밝혀줄 에너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물었죠. 디자이너들이 보내온 괄호 속 단어와 그에 관한 스케치를 다시 만나봅니다.

일본에 지진과 쓰나미가 일어난 지 어느 새 석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삶이 비극의 영향 아래 있다. 보다 근심스러운 것은 원전 사고의 여파이다. 이미 문제는 해당 지역을 넘어섰고 심지어 일본이라는 한 나라에 머무르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일본 대지진은 원자력 에너지의 안전 신화를 무너뜨렸다. 어쩌면 이것이 대체 에너지를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 무지(MUJI)는 그럴 수 있다고 믿는다. 

6월 20일 무지가  “즐기세요! (     ) 에너지를”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웹사이트를 열었다. 무지는 세계 여러 디자이너들에게 에너지와 관련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요청하였다. 문구의 빈 칸마다 각자가 생각하는 에너지의 상이 들어 있다. 생활 속 실용적인 에너지 절약 제안에서 마음을 위로하는 따뜻한 생각까지, 에너지에 관한 다양한 형용의 생각들이 모였다. 아래 무지 랩스(MUJI Labs) 홈페이지에서 그 내용들을 살펴보시길. 

www.muji.net/lab/energy/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깔끔한 식사를 위한 식용 테이프

존스 홉킨스 화이팅 공과대학(Whiting School of Engineering)에서 음식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식용 테이프를...

2007-05-17 | 〈월페이퍼*〉, 100개의 표지

2007년 오늘의 뉴스는 영국의 잡지 <월페이퍼*>의 ‘표지’ 이야기입니다. 100번째 잡지 발행을 맞아, 총 100가지의 표지들을 돌아보는 갤러리를 열고, 그 중 최고의 표지가 무엇인지를 <월페이퍼*>를 만드는 이들에게 묻고 또 <월페이퍼*>를 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쉽게도 이제는 표지 모음 갤러리도, 독자 투표 페이지도 사라지고 없지만, 여기 스태프들이 꼽은 다섯 개의 표지는 남았습니다.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