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3 | 노키아 ‘N9’ 스마트폰

Editor’s Comment

1998년부터 2011년까지, 노키아는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놓친 적 없는 거인이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2년 뒤 마이크로소프트에 휴대전화 사업부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지요. 그렇게 제때 스마트폰 시장의 도래를 준비하지 못한 대가는 컸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2016년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또 다시 폭스콘의 자회사로 매각되며 표류하는가 싶더니, 저가 스마트폰 그리고 특히 피처폰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며 ‘부활’이라는 평까지 받았습니다.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 중심으로 재편된 이래, 전통의 강자 노키아(Nokia)는 재앙에 가까운 부진을 겪어왔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양강 구도 속에서, 노키아는 자체 운영체제 심비안 마저 포기하였고, 대신 인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제휴에 나섰다. 바로 지난 21일, 노키아가 신모델,  ‘N9’를 공개하였다. 인텔과 공동 개발한 미고(MeeGo) 기반의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에서 많은 버튼들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홈 키만은 건재한 편이다. 그러나 ‘N9’는 그마저도  스와이프 제스처로 대체하며, 올스크린 디자인을 선보였다. 현재 어떤 애플리케이션 상에 있든, 디스플레이 가장자리로부터 화면을 훑으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N9’는 사용자들이 가장 일상적으로 하는 세 가지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확인, 여러 활동들 사이의 전환이다. ‘N9’는 각각에 특화된 세 가지 보기 방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 모두는 스와이프라는 단 하나의 제스처로 이뤄진다. 

소프트웨어와 더불어, 노키아의 디자인 팀은 휴대폰의 하드웨어 디자인에도 상당히 공을 들였다. 홈 버튼이 필요 없는 만큼, ‘N9’의 전면에는 오직 스크린뿐이다. 3.9인치 AMOLED 스크린은 부드러운 곡면 유리로 덮여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유니바디가 매끄럽게 곡면 유리와 연결된다. 

노키아의 새 스마트폰 ‘N9’는 올해 말 경부터 시판될 예정이다. 

www.noki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11-08-02 | ‘311 스케일’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