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3 | 노키아 ‘N9’ 스마트폰

Editor’s Comment

1998년부터 2011년까지, 노키아는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놓친 적 없는 거인이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2년 뒤 마이크로소프트에 휴대전화 사업부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지요. 그렇게 제때 스마트폰 시장의 도래를 준비하지 못한 대가는 컸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2016년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또 다시 폭스콘의 자회사로 매각되며 표류하는가 싶더니, 저가 스마트폰 그리고 특히 피처폰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며 ‘부활’이라는 평까지 받았습니다.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 중심으로 재편된 이래, 전통의 강자 노키아(Nokia)는 재앙에 가까운 부진을 겪어왔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양강 구도 속에서, 노키아는 자체 운영체제 심비안 마저 포기하였고, 대신 인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제휴에 나섰다. 바로 지난 21일, 노키아가 신모델,  ‘N9’를 공개하였다. 인텔과 공동 개발한 미고(MeeGo) 기반의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에서 많은 버튼들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홈 키만은 건재한 편이다. 그러나 ‘N9’는 그마저도  스와이프 제스처로 대체하며, 올스크린 디자인을 선보였다. 현재 어떤 애플리케이션 상에 있든, 디스플레이 가장자리로부터 화면을 훑으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N9’는 사용자들이 가장 일상적으로 하는 세 가지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 알림 확인, 여러 활동들 사이의 전환이다. ‘N9’는 각각에 특화된 세 가지 보기 방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 모두는 스와이프라는 단 하나의 제스처로 이뤄진다. 

소프트웨어와 더불어, 노키아의 디자인 팀은 휴대폰의 하드웨어 디자인에도 상당히 공을 들였다. 홈 버튼이 필요 없는 만큼, ‘N9’의 전면에는 오직 스크린뿐이다. 3.9인치 AMOLED 스크린은 부드러운 곡면 유리로 덮여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유니바디가 매끄럽게 곡면 유리와 연결된다. 

노키아의 새 스마트폰 ‘N9’는 올해 말 경부터 시판될 예정이다. 

www.noki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주변적 디자인 #3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어느날 타임라인에 새로운 아이돌이 나타났다.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레드벨벳, 오마이걸, (여자)아이들과 같은 ‘여돌’을 선호한다....

2011-05-31 | 스킨

“동물은 네모반듯하지 않으며, 그 가죽도 마찬가지다.”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는 가죽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들쭉날쭉하고 흠집 난 가죽 조각들을 이어붙여 중고 가구에 입혔습니다. 한때 살아 있는 생물의 피부가 주인 잃은 가구의 피부가 된 셈이지요. 새로운 피부가 씌워지며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외곽선과 거친 이음새가 무언가 기묘한 생명체의 인상을 줍니다. 5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뉴스는 페퍼 헤이코프의 ‘스킨’입니다.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