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Editor’s Comment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 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 Studio Parris Wakefield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 컴필레이션 음반 <토털 TOTAL>이 발매를 앞두고 있다. 두 밴드의 한 앨범 아트워크. 피터 사빌(Peter Saville)과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Studio Parris Wakefield)가 <토털>의 슬리브를 디자인했다. 

+ 뉴 오더의 <테크닉> 앨범 커버 (이미지 추가)

디자인에 앞서 먼저 <토털>이 포착해야 할 두 밴드의 정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했다. 피터 사빌과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는 뉴 오더의 룩으로 <테크닉 Technique> 앨범의 그래픽을, 조이 디비전의 룩으로 대문자를 꼽았다. 그들은 또한 타이포그래피가 두 밴드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 Studio Parris Wakefield

그리하여 앨범에는 TOTAL이라는 다섯 글자가 헬베티카 헤비 이탤릭체로 등장한다. 각 글자는 CMYK 색상 별로 가늠이 어긋난 채 인쇄되었다. 처음에는 단어를 앨범 너비에 맞게 배치하였으나, 최종적으로 O자를 향해 줌인된 버전이 채택되었다. “내게 ‘O’는 가장 섹시한 글자로… 재미있게도 뉴 오더, 조이 디비전, 토털 모두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유일한 글자이기도 했다.”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하워드 웨이크필드의 설명이다.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컴필레이션 앨범, <토털>은 6월 6일 발매되며, 현재 사전예약 판매가 진행중이다. 

www.petersaville.com
www.parriswakefield.com
https://colourandform.uk (주소 갱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8-11 | 올시티의 영화 포스터 디자인

올시티의 활동 무대는 영화입니다. 2000년부터 이 런던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파트너로서 인상적인 홍보물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업을 살펴보았는데요. 13년이 지난 지금, 올시티의 포트폴리오에는 영화 외에도 넷플릭스, HBO 등 스트리밍 플랫폼 상영작을 위한 작업이 눈에 띕니다. 또 전통적인 인쇄 홍보물에서 모션, 온라인 등 홍보물 자체의 매체 변화도 흥미롭고요. 영화, 드라마, TV 쇼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도 새삼 실감하게 됩니다.

2011-09-08 | 폴 스미스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포스터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의 영국 개봉을 앞두고, 특별한 포스터가 등장했습니다. 패션 디자이너 폴 스미스의 한정판 영화 포스터들이 그것입니다. 영화의 시공간적 배경이 된 1970년대의 런던을 살아온 사람으로서, 폴 스미스는 연출을 맡은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합니다. 그런 인연으로 네 장의 특별한 폴 스미스 디자인 포스터가 탄생했습니다.

2007-05-30 |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2007년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그 두 번째 막이 올랐습니다. BD에서 선보인 가구 컬렉션에 새로운 아이템이 더해졌는데요. 공존이 가능할까 싶은 소재와 스타일을 뒤섞는 이른바 대조적 믹스를 통해, 여러 모로 즐거운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2011-05-20 | 실패에 대한 두려움

2011년 스웨덴의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이 졸업전시회를 선보이며 내건 표제는 다름아닌 ‘실패’였습니다. “실패 좀 하면 어때. 누구나 다 실패를 겪어. 핵심은 이거지. 실패가 무섭지 않다면 무얼 해보고 싶어?” 그리고 각계 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실패를 겪었고 또 두려움을 이겨냈을 12인의 인사들의 입을 통해 그러한 메시지를 전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