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2 | 공작연맹아카이브 – 물건박물관

Editor’s Comment

베를린에는 평범한 물건들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공작연맹 아카이브 – 물건 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박물관의 중심에는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의 산물과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 공작연맹의 실천 영역이었던 일상 생활과 상품 사회에 대한 관심을 동시대로까지 확장하죠. 가령 올 1월 1일 개막한 ‘위 전시에서는 40년대의 방독면부터 오늘날의 일회용 마스크, 박제 박쥐, 비누, 플레이모빌의 간호사 인형 등의 다양한 위기의 사물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2007년 여름 베를린에 박물관 하나가 문을 열었다. 공작연맹아카이브 – 물건박물관(Werkbundarchiv – Museum der Dinge)은 방대한 그러나 좀처럼 전시되지 않는 물건들의 컬렉션을 갖추고 있다. 독일공작연맹(Deutscher Werkbund)의 역사적 기록물로부터 시작하여 컬렉션은 평범한 물건들로 확장된다. 기명의 디자인과 무명의 디자인, 악취미의 물건과 순수한 기능적 물건이 서로 나란히 놓여 제시된다. 이처럼 물건 박물관은 사소한 물건들로 20세기 물건의 역사, 오늘날의 제품 문화와 같은 큰 그림을 그려내려 한다. 

박물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소장품의 일부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달의 물건’과 같은 메뉴에서는 매달 하나씩의 물건을 별도로 소개하고 있다. 지난 달 돌연사한 북극곰 크누트 때문일까? 이달의 물건은 북극곰 재떨이이다. 다채로운 소장품 컬렉션을 토대로 기획 전시도 열리는데, 개관 전시 ‘물건들의 전쟁’을 시작으로, ‘사악한 물건. 고약한 취향의 백과사전’과 같은 흥미로운 기획의 전시들이 여러 차례 열렸다. 전시 이외의 행사들도 흥미롭다. 가령 다음 달에는 ‘물건 상담’이 예정되어 있다. 자신의 가진 물건을 가지고 오면, 이것이 언제적 물건인지, 누가 디자인했는지, 또 지금 가치는 어느 정도일지와 같은 설명들을 들을 수 있다고. 

www.museumderdinge.org

via It’s Nice Tha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중산층의 잇템 #3 뜨개질 : 취미로서의 노동

말레이시아 여행을 갔을 때였다. 한국 돈으로 5,000원도 하지 않는 금액의 진주 귀걸이를 발견했다. 아무리...

2007-05-30 |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2007년 하이메 아욘의 ‘쇼타임!’ 그 두 번째 막이 올랐습니다. BD에서 선보인 가구 컬렉션에 새로운 아이템이 더해졌는데요. 공존이 가능할까 싶은 소재와 스타일을 뒤섞는 이른바 대조적 믹스를 통해, 여러 모로 즐거운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