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4 | 이야기 꽃병

Editor’s Comment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시야자마 프로젝트 + 프론트(Siyazama Project + Front), ‘이야기 꽃병(Story Vase)’ 시리즈 – (왼쪽부터) 로볼릴 심바(Lobolile Ximba), 키시웨피 시톨레(Kishwepi Sitole), 뷰티 엔딜로부(Beauty Ndlovu)가 프론트가와 함께 작업한 꽃병이다. 
© Anna Lönnestan

꽃병 위에 다섯 명의 여성들의 이야기가 쓰였다. 프론트(Front)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구슬공예인 여성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Siyazama Project)와 함께, ‘이야기 꽃병(Story Vase)’을 선보였다. 1999년 설립된 시야자마 프로젝트는 크와줄루-나탈(KwaZulu-Natal) 지역에서 살고 있는 전통 구슬공예 여성들의 모임이다. ‘이야기 꽃병’은 바로 그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Anna Lönnestan
© Anna Lönnestan
© Anna Lönnestan

프로젝트는 대화에서 출발하였다. 시야자마 프로젝트의 뷰티, 토코자니, 키시웨피, 토리웨, 로볼릴은 각자의 생활, 구슬공예 일의 의미에 관한 이야기들을 풀어 놓았다. 그녀들의 일상사는 또한 크와줄루-나탈에 드리운 에이즈, 실업, 빈곤과 같은 어두운 문제들을 건드린다. ‘이야기 꽃병’에는 그녀들의 이야기가 적혀 있다. 글로 옮겨진 이야기의 글자 하나하나가, 구슬로 다시 적혔다.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키시웨피 시톨레와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Sofia Lagerkvist)
© Editions in Craft
뷰티 엔딜로부 
© Editions in Craft
토노자니 시비시(Thokozani Sibisi)
© Editions in Craft
키시웨피 시톨레
© Editions in Craft
로볼릴 심바 
© Editions in Craft
레이노 비에르크(Reino Björk)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 Editions in Craft

프론트는 이번 작업에서 디자인, 소재, 서사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이것은 그녀들의 초창기 작업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만든 이들의 이야기가 실제 꽃병의 뼈대를 이루어, 구체적인 제작 과정 속에 새겨진 것이다. 프론트와 시야자마 프로젝트의 ‘이야기 꽃병’은 에디션스 인 크래프트(Editions in Craft)를 통해 출시되었다. 

www.designfront.org
www.siyazamaproject.dut.ac.za
www.editionsincraf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16 | VAT 19%와 7%, 둘 중 어느 쪽?

이것은 디자인일까 예술일까. 그 판단에 따라 부가가치세 19%냐 7%냐가 결정됩니다. 베타 탱크의 에얄 부르슈타인과 미헬레 가울러는 예술이다 디자인이다 딱 부러지게 말하기 ‘모호한’ 오브제들을 만들어, 각기 다른 세관을 거치는 경로로 전시 현장으로 부쳤습니다. 베타 탱크의 ‘택싱 아트’ 시리즈는 세법과 해운법이라는 관료적 세계로 들어선 오브제의 여행기입니다.

러시아 군사 보급품 공급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낯설고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3월 22일...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