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1 | 죽기 전에 하고 싶은 것

Editor’s Comment

조만간 사라질 운명의 빈 건물에 커다란 칠판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는 동네 주민들의 희망과 소원이 적혔죠. ‘죽기 전에’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통해 캔디 창은 죽음을 앞둔 시한부 건물에 죽기 전에 이루고픈 바람을 모아냈습니다. 

뉴올리언스의 마리니가 900번지(900 Marigny Street). 마리니 가와 버건디 가가 만나는 골목에 빈 건물이 하나 있다. 몇 년 뒤면 새 주택으로 변신할 터이지만, 여전히 방치된 채로 건물에는 먼지만 두텁게 쌓여가는 중이다. 

공공설치작가이자 디자이너, 도시 계획가 그리고 시빅 센터(Civic Center)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한 캔디 창(Candy Chang)이 이 건물에 거대한 칠판을 설치하였다. 한 달 하고도 일곱 시간. 건물 벽에 칠판을 달고 문구를 스텐실 하는 데 걸린 시간이다. 

‘죽기 전에(Before I Die)’라는 이름의 이번 프로젝트에서 캔디 창은 동네 주민들의 희망과 소원들을 수집한다. “죽기 전에 ~을 하고 싶다”는 문구의 빈 칸마다, 각자의 꿈들이 적혀 있다. 세상의 모든 스시와 사탕들을 먹고 싶다는 내용에서 빛 속으로 사라지고 싶다는 글귀까지, 짤막한 글귀들이 때로는 미소를 짓게 하고 때로는 가슴을 때린다. 

마리니가 900번지 건물의 프로젝트는 4월 10일자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이것이 ‘죽기 전에’의 끝은 아니다. 캔디 창은 뉴올리언스 내 또 다른 버려진 공간을 찾아 프로젝트를 이어 진행할 계획이다. 

candychan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1-08-02 | ‘311 스케일’

2011년 3월 11일의 일을 시각 형식으로 전합니다. 일본디자인센터가 연 웹사이트 ‘311 스케일’은 대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의 정보를 그래프로 재현하여 보여줍니다. 그래프는 숫자의 중립적인 재현 방식이라 여겨지지만, 그렇다고 해석의 편향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311 스케일’은 이 점을 인정하되, 정보를 극화하거나 의견을 덧붙이는 일을 피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정보를 차분히 전달합니다. 반갑게도 ‘311 스케일’은 아직도 운영 중입니다. 오랜만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

2021년 9월 10일, 필립 스탁은 베니스의 새로운 상징이 될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을 선보였다....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