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Editor’s Comment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를 앞두고 이탈리아 <롤링 스톤>지도 디자인 특집 기사를 실었다. 다음 10년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칠 디자이너들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앨리스 로스손(Alice Rawsthorn)과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tonelli)가 20인의 디자이너 명단으로 답한다. 

명단을 작성하며, 두 사람은 안배의 문제를 고려할 수 밖에 없었다. 디자인 내 분과들을 충분히 다루고 있나? 특히 앞으로 더욱 중요성을 더할 분과들이 반영되어 있는가? 지역적으로도 균형 잡힌 명단인가? 더불어 이러한 류의 명단을 오랫동안 괴롭혀 온 문제가 있으니 바로 성별이다. 앨리스 로스손은 그러나, 적어도 마지막 부분에 대해서는 그리 걱정할 필요가 없었다고 이야기한다. 

“우리의 명단에 여성 디자이너들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의식적으로든 아니든 우리가 젊은 여성 디자이너들을 지지하고 싶었다는 것만이 유일한 이유일까?… 이 명단은 미래에 초점을 마주고 있다. 아마 그래픽이나 제품과 같은 전통적인 분과에만 매몰되었더라면 성별 구성도 달라졌을 것이다. 새로운 디자인 영역들을 규정하는 특징 가운데 하나는 협업이다. 개인들 그리고 분과들 사이의 협업으로, 여성들이 잘 해 나가는 무엇이기도 하다.”

버그 런던(Berg London), 디지털 매거진 ‘맥+(Mag+)’ 콘셉트 
조너선 해리스 & 셉 캄바르(Jonathan Harris & Sep Kamvar), WeFeelFine.org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인의 차세대 디자이너 명단을 작성하였다. 과학, 기술,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서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디자인 영역들에 대한 고려가 특히 두드러진다. 버그 런던, 프로세싱(Processing)의 벤 프라이(Ben Fry)와 케이시 리스(Casey Reas), 데이지 진스버그(Daisay Ginsberg), 조너선 해리스, 요스트 흐로턴스(Joost Grootens), 네리 옥스만(Nero Oxman), 휴 허(Hugh Herr), 스푸트니코!(Sputniko!) 등이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포르마판타스마, ‘자급자족(Autarky)’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Christien Meindertsma), <돼지 05049>
비주얼 에디션스(Visual Editions)

전통의 제품 분과에서는 포르마판타스마와 율리아 로만(Jolia Lohmann)의 이름이 눈에 띈다. 개념적, 비평적 디자인에 전통에 서 있는 디자이너들로, 또 이러한 맥락에서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 역시 빼놓을 수 없다. 한편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는 네덜란드의 ‘디자인 선동가들’인 메타헤이븐(Metahaven)과 중국의 차세대 그래픽 디자인의 핵심주자 리우 지지(Liu Zhizhi)가 명단에 합류했다. 출판사 비주얼 에디션스의 선정에도 주목할 만 하다.

20인의 디자인 명단으로 바라본 미래의 디자인. 아래 <도무스>의 요약 기사에서 명단의 주인공들을 확인할 수 있다. 

[Domus] Rolling Stone design special issu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06-10-31 | 프론트의 마법 같은 ‘스케치’

허공에 그린 스케치가 가구가 되어 나옵니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의 ‘스케치’는 모션캡처,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을 경유해 태어난 마법 같은 가구 시리즈입니다. 손의 움직임을 모션캡처로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물질화시킨 결과물이었죠.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