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1 | 노키아 퓨어

Editor’s Comment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2011년 노키아(Nokia)의 서체가 새롭게 바뀐다. ‘노키아 퓨어(Nokia Pure)’는 ‘노키아 샌즈(Nokia Sans)’의 뒤를 이어 노키아 브랜딩의 근간을 이루게 될 서체이다. 새 서체는 휴대폰 스크린에서 출판 매체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노키아의 제품 및 커뮤니케이션에 전면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새 서체의 디자인은 달튼 마그(Dalton Maag)의 브루노 마그(Bruno Magg)가 맡았다. 

전반적으로 ‘노키아 퓨어’는 보다 둥글고 부드러운 인상을 지니고 있다. 노키아는 새 서체가 흐름과 운동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였다고 설명한다. 소문자 c와 e에서 보듯, 글자들이 서로에게 흘러 드는 듯한 운동의 느낌을 지니고 있다는 것. 브루노 마그는 이번 작업이 균형잡기의 과정이었다고 설명한다. “서체의 리듬과 글자들 사이의 관계가 중요했다. 결과적으로 새 서체가 아랍어로 쓰여 있을 때에도 여전히 노키아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인지 가능한 리듬을 만들어낼 때 성취되는 것이다.”

노키아의 새 서체 ‘노키아 퓨어’를 만나게 될 가장 기본적인 매체는 역시 휴대폰이다. 노키아 휴대폰 UI의 기본 서체로서, 작은 화면에서도 높은 가독성이 필수적이다. UI용 폰트인 ‘노키아 퓨어 텍스트’는 총 모두 완전한 힌팅(hinting) 과정을 거친 서체로, 라이트/레귤러/볼드의 세 가지 굵기로 디자인되었으며, 휴대폰 UI뿐만 아니라 본문 사이즈의 출력물에도 적합하다. 한편 보다 큰 사이즈의 브랜딩 환경을 위해 ‘노키아 퓨어 디스플레이’도 함께 디자인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노키아를 대표했던, 아직도 노키아 로고의 서체로 남아 있는 ‘노키아 샌즈’의 디자이너 에릭 슈피커만(Erik Spiekerman)은 새 서체를 어떻게 생각할까? 블로그와 트위터에 남긴 그의 평가는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부드러움(blandness)을 이유로, 지난 10년 간 ‘노키아 샌즈’가 구축한 브랜드 인지성을 포기하였다는 것. “나는 유순하지 않았던, 옛 노키아 서체의 책임자였다.” 

brandbook.nokia.com/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2010-02-08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대 디자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5일째인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12년 전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시상대 디자인을 다루었습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에서 나고 자란 목재와 밴쿠버 출신의 디자이너와 목공들이 함께 지역의 산세를 닮은 시상대를 만들어냈지요.

2007-06-29 | 바젤 시민들, 신슈타트카지노에 반대표를 던지다

바젤시의 슈타트카지노는 이름은 카지노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홀입니다. 본래의 건물은 1824년에 지어졌지만, 현재의 건물은 다시 지어져 1939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2003년 바젤시는 건축 설계안을 공모했고, 자하 하디드의 설계가 당선되었지요. 그의 설계는 마치 이 유서 깊은 문화 지구의 원 콘서트홀 위로 이질적인 매스가 착륙해 감싸 안은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2007년 바젤 지역 주민들은 이 ‘신슈타트카지노’ 사업에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습니다.(...)

2007-06-08 | 올리베티 프린터 컬렉션

지난 4월 11일은 아드리아노 올리베티의 탄생 12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창업자인 아버지 카밀로 올리베티의 뒤를 이어 우리가 아는 ‘그 올리베티’의 모습을 만든 인물입니다.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은 그가 “현대 디자인만이 아니라 복지 자본주의의 기업 모델을 확립했다”고 말합니다. 전후 이탈리아 산업 디자인을 대표하는 이름이었던 올리베티는 현재 사뭇 다른 모습으로 텔레콤 이탈리아의 산하에 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과거의 영화를 재현하려는 듯 쟁쟁한 디자이너들과 함께 선보였던 올리베티의 프린터들 이야기입니다. 심지어 재스퍼 모리슨의 프린터는 그 이름마저 ‘리네아(Linea)’였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