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1 | 노키아 퓨어

Editor’s Comment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2011년 노키아(Nokia)의 서체가 새롭게 바뀐다. ‘노키아 퓨어(Nokia Pure)’는 ‘노키아 샌즈(Nokia Sans)’의 뒤를 이어 노키아 브랜딩의 근간을 이루게 될 서체이다. 새 서체는 휴대폰 스크린에서 출판 매체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노키아의 제품 및 커뮤니케이션에 전면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새 서체의 디자인은 달튼 마그(Dalton Maag)의 브루노 마그(Bruno Magg)가 맡았다. 

전반적으로 ‘노키아 퓨어’는 보다 둥글고 부드러운 인상을 지니고 있다. 노키아는 새 서체가 흐름과 운동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였다고 설명한다. 소문자 c와 e에서 보듯, 글자들이 서로에게 흘러 드는 듯한 운동의 느낌을 지니고 있다는 것. 브루노 마그는 이번 작업이 균형잡기의 과정이었다고 설명한다. “서체의 리듬과 글자들 사이의 관계가 중요했다. 결과적으로 새 서체가 아랍어로 쓰여 있을 때에도 여전히 노키아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인지 가능한 리듬을 만들어낼 때 성취되는 것이다.”

노키아의 새 서체 ‘노키아 퓨어’를 만나게 될 가장 기본적인 매체는 역시 휴대폰이다. 노키아 휴대폰 UI의 기본 서체로서, 작은 화면에서도 높은 가독성이 필수적이다. UI용 폰트인 ‘노키아 퓨어 텍스트’는 총 모두 완전한 힌팅(hinting) 과정을 거친 서체로, 라이트/레귤러/볼드의 세 가지 굵기로 디자인되었으며, 휴대폰 UI뿐만 아니라 본문 사이즈의 출력물에도 적합하다. 한편 보다 큰 사이즈의 브랜딩 환경을 위해 ‘노키아 퓨어 디스플레이’도 함께 디자인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노키아를 대표했던, 아직도 노키아 로고의 서체로 남아 있는 ‘노키아 샌즈’의 디자이너 에릭 슈피커만(Erik Spiekerman)은 새 서체를 어떻게 생각할까? 블로그와 트위터에 남긴 그의 평가는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부드러움(blandness)을 이유로, 지난 10년 간 ‘노키아 샌즈’가 구축한 브랜드 인지성을 포기하였다는 것. “나는 유순하지 않았던, 옛 노키아 서체의 책임자였다.” 

brandbook.nokia.com/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Design of Voice #3 두연씨, 우리 잘 먹고 잘 살아요.

매년 돌아오는 여름이지만 올해 유난히 ‘이렇게까지 더웠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자주 든다. 2021년 7월,...

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쓸모없는 몸? : 엘름그린 & 드라그셋 개인전

베를린 아티스트 듀오 엘름그린&드래그셋(Elmgreen&Dragset)의 개인전 ‘쓸모없는 몸? (Useless Bodies?)’이 밀라노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에서 열렸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