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Editor’s Comment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3월 17일 일군의 미술가, 평론가, 큐레이터들이 구겐하임 보이콧을 선언하였다.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노동자의 권리 보호를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구겐하임 재단 측은 곧바로 공식 성명을 발표하는 한편, 디렉터 리처드 암스트롱과 수석 큐레이터 낸시 스펙터의 명의로, 에밀리 야시르와 왈리드 라드의 항의 서한에 답장을 보내왔다. 

구겐하임 재단은 서한에서 자신들 역시 사디야트 섬의 이민 노동자들에 권리 보호에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상당한 수준의 노동권 보호 및 노동환경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미술가 집단의 보이콧은 작년 9월 인권감시단(Human Rights Watch)이 내놓은 보고서에 기반한 것이다. 구겐하임은 이에 인권감시단의 보고서가 현재의 개선 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2010년 9월, 구겐하임 재단과 관광개발공사(TDIC)는 공동성명에서 사디야트 섬 건설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내용들을 발표하였다. 구겐하임 재단은 인권감시단이 제기한 핵심 문제들의 경우 이미 상당한 개선이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가령 2010년 11월 시행된 외부 기관의 현장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인터뷰 대상 노동자들 가운데 90%가 업체로부터 여권을 돌려 받았으며, 인터뷰한 노동자들 모두가 고용 계약서를 가지고 있었고, 실제 근로조건 역시 계약서 상의 내용과 일치한다는 것. 또한 TDIC가 이미 자국의 고용실천정책(EPP)에 보호장치를 확대하였으며, 채용 수수료 징수를 전면 금지하고 또 이에 대한 환급 조치도 내렸다는 점 역시 재차 강조하였다. 
  
“우리는 지난 주에 발표된 인권감시단의 성명이 현재까지 이뤄진 개선 사항에 대해 부정확한 그림을 그렸다고 본다. 구겐하임은 명백히 당신들이 밝힌 것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개선 내용이 그저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고 믿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서 수십 년간 지속된 노동 관행이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에 의해 성취된 것임을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당신들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www.guggenheim.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주변적 디자인 #3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어느날 타임라인에 새로운 아이돌이 나타났다.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레드벨벳, 오마이걸, (여자)아이들과 같은 ‘여돌’을 선호한다....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