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Editor’s Comment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2011년 오늘의 뉴스는 프랭크 게리의 설계로 유명한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노동 착취 현실 그리고 그에 항의하는 미술계의 보이콧 운동 소식입니다. 

루브르, 구겐하임, 해양박물관, 공연예술센터… 아부다비의 문화지구 사디야트 섬(Saddiyat Island)이 나날이 조감도에 약속된 모습에 가까워져 간다. 소위 “행복의 섬”이라 불리는 이곳은 이민 노동자들의 손으로 지어지고 있다. 과연 그들에게도 사디야트는 행복의 섬일까. 문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빚의 늪에 빠져 있으며, 보잘것없는 임금을 받으며, 최소한의 노동권조차 보장받지 못한다. 심지어 그들에게는 일을 그만둘 자유조차도 없다. 사막의 파리를 자처하는 문화의 섬은 착취의 연쇄 위에 서 있다. 

일군의 미술가, 큐레이터, 비평가들이 구겐하임 아부다비의 보이콧 운동에 나섰다. 3월 16일, 130여 명 이상의 미술계 인사들이 서명한 항의서한이 구겐하임 재단의 디렉터 리처드 암스트롱 앞으로 발송되었다. 건설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즉각적이고 의미 있는 행동이 취해지기 전까지, 구겐하임 아부다비에 대한 보이콧을 진행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서명에 동참한 다수의 미술가들은 구겐하임의 다른 분관들에 대해서도 거부운동을 벌이기로 결정하였다. 그들은 노동자를 착취하여 지어진 건물에서는 작품을 전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미 개발 초기부터 이민 노동자에 대한 착취 문제가 제기되어 온 바, 불법적인 채용 수수료, 열악한 임금 수준 및 거주 환경과 같은 문제들이 전반에 산적해 있다. 게다가 현 시스템은 고용자에게 노동자에 대한 거의 무한한 권력을 보장한다. 여러 단체들이 이와 같은 문제들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해왔고, 마침내 작년 9월 구겐하임 재단은 구겐하임 아부다비의 건설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하였다. 

이어 지난 10일 사디야트 섬의 개발을 책임진 관광개발공사(TDIC) 역시 기존의 외부 감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한편, 고용실천정책(EPP)을 수정하여, 그간 하도급자들이 채용 수수료 명목으로 가져간 비용을 노동자들에게 배상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간 건설 노동 문제를 지켜본 이들에게 TDIC의 발표는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이었다. 가령 TDIC의 감시 프로그램이란 아랍에미리트연합 국내법에 의거한 위반만을 대상으로 하며, 국제법에 의해 보장된 주요한 노동권 및 인권 보호 내용들이 배제되어 있다. 게다가 채용 수수료 배상과 같은 내용 역시 강제적인 시행 절차가 빠져버린, 구속력 없는 약속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이콧에 참여한 미술가 왈리드 라드(Walid Raad)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벽돌과 모르타르로 일하는 사람들도 카메라와 붓으로 일하는 사람만큼 존중 받아야 한다.” 미술가들의 보이콧 운동에는 왈리드 라드를 비롯해, 에밀리 야시르, 이토 바라다, 재닛 카디프, 윌리 도허티, 바바라 크루거 등의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gulflabor.wordpress.com
www.ipetitions.com/petition/gulflabor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2011-04-05 | 아마노라 아파트 시티

MVRDV가 인도의 한 도시에 설계한 이 건물은 우리에게 무척 익숙해 보입니다. 낯익음은 그것이 아파트라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빽빽하게 사열한 창들이 보여주는 고밀도의 풍경은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지요. 다만 보통의 아파트 단지와 다르게, MVRDV는 독립된 여러 동이 단지를 이루는 대신에 여러 동이 하나의 건물을 이루는 배치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형태는 산과 비슷하죠. MVRDV가 설계한 ‘퓨처 타워’는 2018년 완공되었습니다.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