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Editor’s Comment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스튜디오 글리테로(Studio Glithero)가 또 한 번 콘크리트 양동이를 들었다. 신작 ‘푸어드 바(Poured Bar)’는 2009년 ‘롱 드롭’ 과 유사하게 폴리콘크리트 용액으로 탄생한 테이블이다. 6m 길이의 길쭉한 바 카운터. 테이블의 상판은 급속경화 콘크리트 액을 부어 굳혀 만든 것이다. 

스튜디오 글리테로는 매끈한 표면의 작업대 위에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액을 붓기를 반복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층겹을 만들었다. 콘크리트 용액이 완전히 굳기 전 지지 구조대를 얹어 부착하고, 상판이 적당히 굳었을 즈음 이를 조심스레 뒤집어 테이블의 나머지 구조 부분에 올리면, 마침내 ‘푸어드 바’가 완성된다. 테이블의 상판에 남은 흐르고 뭉치고 흔적들은 붓는 과정의 움직임을 슬며시 드러낸다. 제작의 과정을 고스란히 포착한 디자인. 그 안에 깃든 우연적 요소들이 곧 테이블의 매력이 된다.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는 런던 코린시아 호텔(Corinthia Hotel)의 의뢰로 제작된 것으로, 영국아카데미시상식(BAFTA), 런던 패션 위크 등의 행사를 위한 임시 바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www.studioglither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Design of Voice #2 『농인성소수자×한국수어: 편견과 혐오를 걷어낸 존중과 긍정의 언어』

여느 날처럼 SNS를 켜니 형형색색의 머리 스타일에 여섯 색깔 무지개 망토를 두른 ‘샛노란’ 모습의 사람들이 피드에 보인다. ‘아! 올해도 온라인 퀴퍼가 시작됐군.’ 바로 ‘온라인 퀴어 퍼레이드’(이하 ‘온라인 퀴퍼’) 홈페이지로 이동해 하늘색 록스타 머리와 한복 저고리와 바지로 치장한 뒤 스쿠터를 타고 퍼레이드 행렬에 동참했다.

2006-08-17 | 마이클 그레이브스, 의료기기 디자인 계획 밝혀

"어떤 제품의 사용과정이 ‘악전고투’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멤피스 그룹의 일원이자 또 알레시의 주전자로도 친숙한 건축가 겸 제품 디자이너 마이클 그레이브스가 2006년 의료기기를 디자인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그의 계획은 2009년 의료 기술 회사인 스트라이커와의 협업으로 이어졌습니다. ‘병실용 가구’ 시리즈와 ‘프라임 TC’ 휠체어가 바로 그 결실이죠.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최초의 재활용 플라스틱 의자 30주년 기념 전시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엠마 스컬리 갤러리(Emma Scully Gallery)에서 사상 최초로 가구 디자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