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25 | MoMA, 디지털 서체 23종 소장

Editor’s Comment

2011년 벽두, 디지털 서체가 대거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소장품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헬베티카가 MoMA가 소장한 유일한 디지털 서체였지만, 2011년 1월 24일을 기점으로, 23종의 서체들이 이에 합류했죠. 그중에서도 한때 막강한 듀오였으나 껄끄럽게 결별한 조너선 헤플러와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를 비롯해 매튜 카터의 서체들이 목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뉴욕 현대미술관 © Timothy Hursley, 2006

MoMA가 소장한 서체는 헬베티카(Helvetica) 단 하나뿐이었다. 어제 새롭게 23개의 서체들이 소장 컬렉션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1월 24일 MoMA가 23종의 디지털 서체를 소장한다고 발표했다. 새 서체 컬렉션은 그간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서체 분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 중에서도 디지털이라는 특정한 기술적 조건에 초점을 맞춘다. “23종의 서체들은 모두 디지털 또는 디지털 혁명에 대한 선견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지난 20세기 상반기에 일어난 기술적 발전에 대한 응답이다.” MoMA 건축 & 디지털 부서의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tonelli)의 설명이다. 

MoMA에 소장된 서체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어메리칸 타입 파운더스(American Type Founders), ‘OCR-A’, 1966
빔 크라우벨(Wim Crouwel), ‘뉴 알파벳(New Alphabet)’, 1967
매튜 카터(Matthew Carter), ‘벨 센테니얼(Bell Centennial)’, 1976-1978
매튜 카터, ‘ITC 갤리어드(ITC Galliard)’, 1978
에릭 슈피커만(Erik Spiekermann), ‘FF 메타(FF Meta)’, 1984-1991
주자나 리코(Zuzana Licko), ‘오클랜드(Oakland)’, 1985
제프리 키디(Jeffery Keedy), ‘키디 산스(Keedy Sans)’, 1991
에릭 판 블로클란트 & 위스트 판 로쉼(Erik van Blokland and Just van Rossum), ‘FF 베오울프(FF Beowolf)’, 1990
배리 덱(Barry Deck), ‘템플릿 고딕(Template Gothic)’, 1990
P. 스콧 마켈라(P. Scott Makela), ‘데드 히스토리(Dead History)’, 1990
조너선 헤플러[1](Jonathan Hoefler), ‘HTF 디도(HTF Didot)’, 1991
네빌 브로디(Neville Brody), ‘FF 블러(FF Blur)’, 1992
조너선 반브룩(Jonathan Barnbrook), ‘메이슨(Mason)’, 1992
매튜 카터, ‘만티니아(Matinia)’, 1993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Tobias Frere-Jones), ‘인터스테이트(Interstate)’, 1992-1995
매튜 카터, ‘빅 캐슬론(Big Caslon)’, 1994
알베르트-얀 폴(Albert-Jan Pool), ‘FF DIN’, 1995
매튜 카터, ‘워커(Walker)’, 1995
매튜 카터, ‘버다나(Verdana)’, 1996
조너선 헤플러 &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 ‘머큐리(Mercury)’, 1996
매튜 카터, ‘밀러(Miller)’, 1997
조너선 헤플러 &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 ‘레티나(Retina)’, 1999
조너선 헤플러 &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 ‘고담(Gotham)’, 2000

MoMA의 새 서체 컬렉션은 오는 3월 2일 개막하는 전시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s)’에서도 선보일 예정이다. 

[MoMA] Digital Fonts: 23 New Faces in MoMA’s Collection

ⓒ designflux.co.kr


[1] 표기 변경: 조너선 회플러 -> 조너선 헤플러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18 | 디자인 프로브 ‘메타모포시스’

2020년 팬데믹의 한 해를 지나며, 집은 그야말로 피난처이자 안식처가 되었습니다. 감염의 위험을 안은 외부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해, 때로 자신을 집에 가두어야만 했습니다. 아직 진행형인 팬데믹의 와중에,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상상된 근미래의 집을 되돌아봅니다. 디자인 프로브의 ‘메타모포시스’는 집을 일종의 필터로 규정하며, 외부의 나쁜 요소를 걸러내면서도 자연을 안으로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태를 연구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주제가 조금은 더 가깝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2011-10-19 | BCXSY의 못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우주 디자인 동아리: RISD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에 성공한 이후 멀어져 가던 일반인들의 우주에 대한 관심이 다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