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Editor’s Comment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지난 12월 3일은 영화감독 장-뤽 고다르(Jean-Luc Godard)의 80번째 생일이었다. 이를 맞아 아틀리에 카르발류 베르나우(Atelier Carvalho Bernau)는 지극히 자신들다운 방식으로 고다르를 위한 생일 선물을 디자인했다. 

서체 ‘장-뤽(Jean-Luc)’은 대문자로만 구성된 그로테스크 서체로, 일반 볼드 액센트 및 구두점과 헤어라인 액센트 및 구두점의 두 가지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체의 디자인은 그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두 영화, <메이드 인 유에스에이 Made in U.S.A.>와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 Deux ou Trois Choses Que Je Sais d’Elle>의 레터링 타이틀 시퀀스를 직접적으로 참조한 것이다. 

수잔나 카르발류와 카이 베르나우는 서체를 소개하며, 이들 영화 속 레터링 스타일이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에 관한 생각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예쁘고 고전적이기 보다 길거리에서 온 것 같은 “버내큘러적이며 로우브라우(low-brow)의 특징들을 지닌” 고다르의 레터링이,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Plaque Découpée Universelle)의 영향권 속에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1879년대 미국인 조셉 A. 데이비드가 발명한 이 카드는, 스텐실 기법을 이용한 유니버설 레터링 카드로, 1878년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이며 프랑스에 널리 보급되었다. 

“우리는 이 레터링 스타일이 프랑스 레터링의 공공 버내큘러 영역에 흡수되었다고, 또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의 타이틀은 그러한 일상적인 레터링 스타일에서 도출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는 버내큘러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고다르의 집착과도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장-뤽’ 서체(흰색)과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푸른색)과의 비교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는 자신들의 홈페이지에서 ‘장-뤽’ 서체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더불어 페이지 말미에는 아마도 그들에게도 좋은 참고가 되었을 자료들의 링크가 있다. 여기에는 플라크 데쿠페 위니베르셀르 관련 아티클과, 이를 재현한 한 디자인과 재학생의 작품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조하시길 바란다. 

www.carvalho-bernau.com/jl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2010-10-05 | 2010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

일본디자인진흥원은 1957년부터 우수 디자인을 평가, 시상하는 굿디자인 어워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습니다. 2010년에는 총 3,136개 디자인이 응모한 가운데, 베스트 디자인 15점을 비롯해 총 1,110개 디자인에 ‘굿디자인 마크’가 붙여졌습니다. 그해의 이례적인 수상이라면 아이돌 그룹 AKB48이 네트워크 부문 베스트에 선정되었다는 점일 텐데요. 아날로그적인 경험을 찾는 시대에 ‘가서 만날 수 있는 아이돌’이라는 콘셉트가 주효했다는 평입니다. 

요리를 위한 주방: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22

베를린과 비엔나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크마라.로진케(Chmara.Rosinke)가 2022년 6월 6일부터 12일까지 열린 ‘밀라노 디자인...

2011-10-19 | BCXSY의 못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