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30 | 스튜디오 욥 모노그래프 출간

Editor’s Comment

스튜디오 욥이 걸어온 디자인 여정이 한 권의 책에 담겼습니다. 장식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 혼성 디자이너 듀오에 관한 첫 번째 연구서가 2010년 리졸리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습니다. 이름하여 〈북 오브 욥〉, 즉 〈욥기〉에서 그들은 성서 속 인물의 이름과 스튜디오의 이름이 같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두 개의 욥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스튜디오 욥(Studio Job)의 작업 세계를 다룬 첫 번째 연구서, <욥기 The Book of Job>가 11월 9일 출간되었다. 욥 스메이츠(Job Smeets)와 닝커 티나헐(Nynke Tynagel). 2000년 스메이츠의 스튜디오에 티나헬이 합류하면서, 오늘날의 스튜디오 욥의 모습이 갖춰졌다. 듀오로서 함께 활동해 온 지난 10년. 그들은 밀라노에서 마이애미까지 제품 세계와 작품 세계를 누벼왔다. 

스튜디오 욥의 닝커 티나헐과 욥 스메이츠

초창기 스튜디오 욥은 과도한 표현주의자, 상징주의자라는 이유로 비판 받았다. 흥미롭게도 그들이 거둔 성공의 이유 역시 동일하다. 스튜디오 욥은 묵직한 예술 전통이나 역사적 주제들을 전혀 무겁지 않은 듯 작업에 끌어 들이며, 장식에 주저함이 없다. 그들은 시시한 사물들을 기념비로 만들어낼 줄 아는 디자이너들이다. 

<욥기>의 디자인 역시 그러한 특징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가죽장정에 고딕 서체, 채색 일러스트레이션, 금박을 입힌 페이지 모서리 등, 고서풍의 북 디자인이 성서를 연상시킨다. 실제로 스튜디오 욥의 이야기와 성서 속 욥의 고난기, 두 개의 ‘욥기’가 한 권의 책 속에 전개된다. <욥기>는 욥 스메이츠와 닝커 티나헐 작업의 ‘출판’ 버전과도 같아서, 여느 디자인 연구서와는 확연히 다른 북 디자인을 보여준다. 

책에 수록된 대형 게이트폴드 페이지
images courtesy Rizzoli New York

서적 출간을 기념한 행사가 오는 12월 7일 뉴욕 쿠퍼 유니온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출판사 리졸리(Rozzoli)와 갤러리 모스(Moss) 그리고 스튜디오 욥이 공동으로, 스튜디오 욥의 강연 및 책 사인회를 열 예정이다. 


<욥기 The Book of Job>
저자: 욥 스메이츠, 닝커 티나헐, 빅터 & 롤프, 알레산드로 멘디니, 머레이 모스, 나디아 스와로브스키, 가레스 윌리엄스
출판: 리졸리 뉴욕
가격: 150달러 
ISBN: 978-0-8478-3063-3

www.studiojob.nl
www.rizzoliusa.com
www.mossonlin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Sad by Design: On Platform Nihilism

“뉴노멀에 온 걸 환영한다.” 시작부터 이런 달갑지 않은 문장이 등장한다. 지겹게 들어온 뉴노멀 타령인가...

2010-08-27 | ‘대즐’ 무늬의 귀환

선박 보호를 위한 전쟁용 위장무늬가 요트의 장식이 되어 귀환했습니다. 이름하여 ‘대즐 위장’이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입니다. 영국의 미술가 노먼 윌킨슨이 발명한 이 무늬는 대조적인 색상의 기하학적 도형들이 이루는 과감한 패턴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보통의 위장 무늬가 주변 환경과의 동화를 도모한다면, 대즐의 목표는 시각을 교란하는 데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