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7 | 신경과학으로 바라본 갭 로고 논쟁

Editor’s Comment

2010년 갭이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자,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좋은 쪽이 아니었다는 점이었죠. 도대체 새 로고는 왜 그토록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것일까요. 그에 관한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등장했으니, ‘쇼핑하는 뇌’에 집중한다는 마케팅 회사 뉴로포커스도 갭 로고 사태에 말을 얹었습니다.

(Gap)의 새 로고는 그야말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문제는 그것이 갭의 기대와는 사뭇 달랐다는 데 있다. 부정적인 반응 일색의‘역풍’이 거세지자, 갭은 당황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 어째서 이처럼 많은 이들이 새 로고를 “재앙”이라 단언한 것일까. 이제 갭 로고 디자인 사태에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가세했다. 뉴로포커스(Neuroscience)는 말하자면 ‘쇼핑하는 뇌’를 연구하는 마케팅 회사다. 그들은 이번 사태를 맞아 발 빠르게 갭의 새 로고가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린’ 까닭을 발표하였다.  

뇌파 활동 측정, 잠재의식 반응 테스트 등을 통해, 뉴로사이언스는 갭의 새 로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새 로고는 참신함, 스타일, 기억 등의 브랜드 평가의 핵심적인 지표들 모두에서 이전보다 나은 결과를 담보하지 못했다. 심지어 스타일 지표의 경우 기존 로고가 더욱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보다 흥미로운 점은 갭의 로고 리디자인이 실패한 지점들을 인지과학, 신경과학의 측면에서 지적한 대목들이다. 가령 기존의 신경과학 연구들은 단어가 이미지 위에 겹쳐 배치될 때, 뇌가 글자들을 무시하거나 간과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말하자면 뇌는 글자보다 이미지에 더 집중한다는 것이다. 새 로고에서 p자는 푸른색 사각형과 겹쳐져 있다. “이는 브랜드 명을 적는 좋은 방법은 아니다.” 지적들은 대부분 p와 사각형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p자 뒤에 배치된 날카로운 사각형은 로고에 대한 회피 반응을 야기한다.” 불안을 불러 일으키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심지어 p자의 둥근 부분을 잘라내기까지 한다. 더불어 기존 로고가 보여주었던 강한 대조도 새 로고에서는 약화되었다. 

한편 G만을 대문자로 나머지 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하면서 로고답다기 보다 단어 같은 인상을 준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반사적으로 Gap이라는 단어의 뜻에 초점을 맞추게 되어, 브랜드명을 고유명사로서가 아닌 일반명사처럼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서체 역시 과거와 비교하면 평이하고, 또 예전 로고와의 연관성이 축소되면서 브랜드의 유산을 잃어버렸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갭의 로고 리디자인이 불러온 소동은 과연 어떻게 마무리 될지. 갭은 황급히 “여러분의 디자인 제안을 기다린다”며 크라우드소싱 프로젝트를 발표했지만, 애석하게도 이와 관련된 새로운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www.neurofocu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2 | 공작연맹아카이브 – 물건박물관

베를린에는 평범한 물건들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공작연맹 아카이브 – 물건 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박물관의 중심에는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의 산물과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 공작연맹의 실천 영역이었던 일상 생활과 상품 사회에 대한 관심을 동시대로까지 확장하죠. 가령 올 1월 1일 개막한 ‘위기’ 전시에서는 40년대의 방독면부터 오늘날의 일회용 마스크, 박제 박쥐, 비누, 플레이모빌의 간호사 인형 등의 다양한 위기의 사물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머리카락, 오염의 단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환경에 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머리카락으로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프로젝트가 소개되어 주목받고...

방호복을 입은 가구와 도자기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YUUE)가 중국의 과도한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 정책으로 불필요한 인도적...

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