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Editor’s Comment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의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국내의 공공기관 운영이 방만하다며, 영국의 쾅고 폐지를 속시원하다는 뉘앙스로 언급한 것이죠. 그런데 이때 사라진 기관 중 하나가 바로 영국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입니다. 긴축의 칼바람 앞에서 문을 닫거나 허리띠를 졸라매야 했던 기관들의 사정이 남의 나라에서 소위 ‘사이다’ 삼을 만한 일이었을까요.

지난 달 말, BBC가 입수한 영국 국무조정실의 문서 하나가 공개되었다. 독립 공공기관들에 대한 심사용 문건으로, 대상 기관들의 폐지 또는 통합 여부가 심사 결과에 따라 가려질 것이었다. 심사 대상 가운데는 디자인 카운슬과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 등 디자인 관련 독립공공기관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지난 20일,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가 재정지출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5%의 예산이 감축됨에 따라, 독립공공기관들에 대한 지원 역시 축소되었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총 55개 독립기관들 가운데 19개 기관을 폐지 또는 개선한다고 밝혔다. 

CABE(+웹아카이브)는 이번 심사 결과 직격탄을 맞았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CABE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CABE 측은 지난 몇 달 간 정부 측과 함께 예산 감축 방안을 논의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원 철회라는 결과를 맞이한 데 대해 “쓰라린 실망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디자인 카운슬은 조금 더 상황이 나은 편이다. 앞으로 문화미디어체육부 대신 비즈니스혁신기술부의 지원을 받게 된 것. 디자인 카운슬은 이제 공식적으로 비정부공공체(NDPB)가 아니라, 왕실 칙허에 따른 자선단체의 지위를 얻어, 앞으로 비영리 독립기관으로서 운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IS가 운영하는 비정부공공체 및 독립기관에 대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난민을 위한 패션

파슨스 디자인 학교 출신의 안젤라 루나(Angela Luna)는 뉴스를 통해 보여지는 난민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2009-07-02 | 보노, 레이저 재킷을 입다

240개의 레이저가 쏘아내는 빛이 술을 이루는 재킷. U2의 보노가 ‘360도’ 투어 무대에 입고 오른 의상입니다. 레이저 재킷을 만들어낸 주인공은 모리츠 발데마이어입니다. 2004년 론 아라드의 스와로브스키 인터랙티브 샹들리에 콘셉트를 실제로 구현하며 데뷔한 그는 이후로도 잉고 마우러, 자하 하디드 등 다른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이어오다, 이내 본인의 이름만으로도 주목받는 예술, 기술, 디자인, 패션의 융합가가 되었습니다. 2009년 오늘자 뉴스에서, 모리츠 발데마이어의 재킷과 함께 U2의 ‘울트라 바이올렛’ 무대도 만나보시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