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15 | 리얼리티 랩

Editor’s Comment

이세이 미야케가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 생산하는 일의 미래를 고민합니다. 2010년 도쿄 21_21 디자인 사이트에서 열린 전시회 ‘리얼리티 랩’은 리얼리티를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의 의미를 다시금 제기하는 자리였습니다. “디자이너의 임무는 사용자를 위해 생각을 현실로 변환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일종의 ‘현실 실험(Reality Lab)’인 것이다.”

이세이 미야케 & 리얼리티 랩 프로젝트 팀(Issey Miyake + Reality Lab Project Team), ‘132.5 이세이 미야케’ – ‘리얼리티 랩(Reality Lab)’ 전시작
photo: Hiroshi Iwasaki

오는 11월, 21_21 디자인 사이트(21_21 Design Sight)에서 특별전 ‘리얼리티 랩(Reality Lab)’이 개막한다. 전시 디렉터인 이세이 미야케는 다시금 만들기(making things)라는 주제를 내걸었다.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것. 생산에 있어 일본의 기술, 품질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그들도 위기 상황에서 예외는 아니다. 숙련된 인력이 사라져 가고, 공장들은 속속 문을 닫고 있다. 

이세이 미야케는 지금이야말로 만들기, 생산의 미래에 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때라 이야기한다. “디자이너의 임무는 사용자들을 위해 생각을 현실로 변환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모색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일종의 현실 실험(Reality Lab)인 것이다.” 

‘리얼리티 랩’ 전은 현실을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기한다. 이세이 미야케는 모두가 열정적으로 생산에 임하고, 결과물의 품질과 아름다움에서 기쁨과 자부심을 찾았던, 바로 그러한 정신의 소생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고 질문한다. 그것이 바로 이번 전시의 주제다. 전시에 합류한 디자이너, 예술가, 과학자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만들기를 바라본다. 

이세이 미야케와 리얼리티 랩 프로젝트 팀은 두 개의 작품을 선보인다. ‘132.5 이세이 미야케’ 의상 시리즈와 ‘인-에이 이세이 미야케(In-Ei Issey Miyake)’ 조명이다. 모두 종이접기를 응용한 디자인으로, 평면에서 입체로의 극적인 변신 과정을 보여준다. 

종이접기는 컴퓨터 과학자인 준 미타니(Jun Mitani)와 시각디자인 스튜디오 WOW의 작업에서도 등장한다. “3D 오리가미(3D Origami)” 분야의 선구자인 준 미타니는 WOW와 함께, 단 한 장의 종이가 입체 모형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인스톨레이션을 통해 제시한다. 

한편 아트 디렉터인 카츠미 아사바(Katsumi Asaba)는 행성 물리학자 타카후미 마츠이(Takafumi Matsui)와 짝을 이뤄, 포스터 시리즈를 내놓았다.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going?)’는 우주 먼 곳에서 날아와 지구에 당도한 유성들의 조각을 통해, 그야말로 우주 차원에서 인간을 생각한다. 

카츠미 아사바 & 타카후미 마츠이,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photo: Kaoru Suzuki

사진작가 히로시 이와사키(Hiroshi Iwasaki)는 일본 기업의 생산 제품들을 담은 정물 사진을,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나오키 요네모토(Naoki Yonemoto)와 마유 히라노(Mayu Hirano)는 지역 섬유 생산 공장을 찾아, 섬유에서 의상까지, 생산 과정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이번 전시에 선보인다. 

21_21 디자인 사이트의 특별전 ‘리얼리티 랩’의 전시 디자인은 건축가 소우 후지모토(Sou Fujimoto)가 맡았다. 더불어 그 역시 “재생과 재창조”라는 주제 탐구에 참여, 역동적인 공간 인스톨레이션을 선보일 것이라고. 전시는 12월 26일까지 계속된다. 

www.2121designsight.j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23 | 노키아 ‘N9’ 스마트폰

1998년부터 2011년까지, 노키아는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놓친 적 없는 거인이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2년 뒤 마이크로소프트에 휴대전화 사업부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지요. 그렇게 제때 스마트폰 시장의 도래를 준비하지 못한 대가는 컸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2016년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또 다시 폭스콘의 자회사로 매각되며 표류하는가 싶더니, 저가 스마트폰 그리고 특히 피처폰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며 ‘부활’이라는 평까지 받았습니다.

2006-12-21 | 미국 TV 애니메이션의 대부, 조셉 바베라 타계

영원한 앙숙 〈톰과 제리〉는 오랜 단짝의 손에서 태어났습니다. 윌리엄 해너와 조셉 바베라, 두 사람은 애니메이션이 개봉의 시대에서 방영의 시대로 넘어가던 1950년대,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을 설립하며,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우주 가족 젯슨〉 등 지금도 사랑받는 TV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2001년 윌리엄 해너가 세상을 떠나고 2006년 조셉 바베라도 타계하였지만, 이 전설적인 듀오의 작품은 수많은 이의 유년 시절과 함께 했고 또 여전히 함께 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에서 온 청사진: 리모와 첫 NFT 컬렉션

독일의 수하물 제조업체 리모와(RIMOWA)는 디자인 스튜디오 누바(NUOVA)와 협력하여 첫 NFT컬렉션 ‘메타버스에서 온 청사진(blueprints from...

중산층의 잇템 #4 수족관 : 내 작은 유토피아

처음 수족관이 집에 들어왔을 때를 기억한다. 거실 TV 옆에 직사각형의 유리 수조를 놓고, 모래와...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