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Editor’s Comment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National Museum of XXI Century Arts)
© Roland Halbe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국립21세기미술관이 2010 영국왕립건축가협회(RIBA)의 스털링상(Stirling Prize)을 수상했다. 이 상은RIBA 소속 회원 및 국제 회원 건축가가 설계한 영국 국내 건축물, 또는 영국에 거점을 둔 건축사무소가 설계한 유럽 내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다. 

© Iwan Baan

올해의 수상작 MAXXI는 로마의 외곽 지역에, 부대와 산업시설 창고들을 이웃하여 자리잡고 있다. 미술관은 그야말로 “길과 통로들”의 건축물이라 부를 만 하다. 이는 ‘매달기’라는 독특한 작품 전시 방식을 고려한 결과로, 작품의 설치 방식에 따라 공간 내부에 새로운 컨텍스트가 생성된다. 심사위원단은 “MAXXI가 그 현란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성숙함과 침착함을 보여준다”고 평하며, 아마도 이것이 “자하 하디드 최고의 작품일 것”이라 덧붙였다.  

© Iwan Baan 
© Iwan Baan 
© Iwan Baan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2005년 독일 라이프치히 BMW 센트럴 빌딩, 2006년 독일 볼프스부르크 파에노 과학 센터, 2008년 오스트리아 노르드 파크 케이블 레일웨이로 이미 세 차례 스털링상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이번 MAXXI의 수상으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역시 사상 첫 스털링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www.architectur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9-09 | 부룰렉 형제, 알레시와 만나다

부룰렉 형제와 알레시가 처음 만나 함께 식기 컬렉션을 내놓았습니다. 전통적이고 소박하되 섬세한 표현을 더하여, 네모와 동그라미 사이에서 조금씩 모양을 달리하는 타원의 식기들이 한가족을 이룹니다. 그렇게 탄생한 '오벌' 컬렉션이 2010년 오늘의 소식입니다.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난민 캠프: 거주지에 대한 또다른 상상

2011년 시리아 시민 전쟁 후부터 현재까지 자국을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진 난민은 현재 700만 명...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