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16 | 타이포그래픽 지도 벽화

Editor’s Comment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 디자이너 폴라 셰어는 1990년대부터 세상을 타이포그래픽 지도의 형태로 그려왔습니다. 2010년에는 이를 실내 벽화의 형태로도 선보였죠. 퀸스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의 아트리움 벽을 장식한 것은 그가 특히 퀸스에 초점을 맞춰 그린 뉴욕의 지도였습니다. 벽화 작업을 위해 지도 원화를 100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누고, 이를 패널에 하나하나 확대하여 비춰 그 모습 그대로 화가가 손수 그려냈습니다. 

디자이너 폴라 셰어(Paula Scher)의 최신작은 다시 한 번 지도다. 그녀가 진행해온 최근 10년의 작업들 가운데 상당수는 큼지막한 지도들이었다. 그녀는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을 통해, 장소들의 위치,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탐색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퀸스 메트로폴리탄 캠퍼스 내 학교 벽화는, 그간의 대형 공간 그래픽 작업과 타이포그래픽 지도가 한데 만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녀가 그린 뉴욕시의 지도는 벽화가 되어, 학교 건물 내 아트리움 내부에 설치되었다. 

지도 그림의 원본 
아트리움에 따른 지도의 펼침 그림
패널 단위로 분해된 모습

본래의 지도 크기는 2.5 x 1.8미터 가량. 폴라 셰어는 벽화 작업을 위해 화가 마이클 임레이(Michael Imlay)를 찾았다. 그들은 지도 원화의 부분 부분을 패널 위에 확대 영사하는 방식으로 지도의 확대 버전을 만들었고, 확대된 지도는 총 100개의 패널에 그려져, 건물 내부 벽체와 천정에까지 정교하게 설치되었다. 

all photos by Ian Roberts 

아트리움에 서면 지도 속에 들어선 기분이 아닐지. 폴라 셰어의 지도 벽화 프로젝트 이야기는 아래 펜타그램 홈페이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Pentagram] New Work: Queens Metropolitan Campu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2010-03-11 | 책이 된 우표

2008년 말 네덜란드의 우체국 로얄 TNT는 디자이너 리카르트 휘턴에게 우표 디자인을 의뢰합니다. 이듬해에는 그것이 ‘북위크 기념 우표’면 좋겠다고 덧붙였죠. 그리하여 책을 닮은 우표가 태어났습니다. 북위크(Boekenweek)라는 단어를 책으로 만들어 그 사진을 표지로 삼아, 8페이지 분량의 책 모양 우표를 만든 것이죠. 실제로 500 단어 분량의 짧은 이야기가 담겼습니다.

중산층의 잇템 #1 피아노 : 중산층의 소리

처음 내 방이 생긴 건 6살 때였다. 주택에서 아파트로 이사하고, 혼자서 어두운 공간에서 잠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