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16 | 타이포그래픽 지도 벽화

Editor’s Comment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 디자이너 폴라 셰어는 1990년대부터 세상을 타이포그래픽 지도의 형태로 그려왔습니다. 2010년에는 이를 실내 벽화의 형태로도 선보였죠. 퀸스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의 아트리움 벽을 장식한 것은 그가 특히 퀸스에 초점을 맞춰 그린 뉴욕의 지도였습니다. 벽화 작업을 위해 지도 원화를 100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누고, 이를 패널에 하나하나 확대하여 비춰 그 모습 그대로 화가가 손수 그려냈습니다. 

디자이너 폴라 셰어(Paula Scher)의 최신작은 다시 한 번 지도다. 그녀가 진행해온 최근 10년의 작업들 가운데 상당수는 큼지막한 지도들이었다. 그녀는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을 통해, 장소들의 위치,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탐색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퀸스 메트로폴리탄 캠퍼스 내 학교 벽화는, 그간의 대형 공간 그래픽 작업과 타이포그래픽 지도가 한데 만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녀가 그린 뉴욕시의 지도는 벽화가 되어, 학교 건물 내 아트리움 내부에 설치되었다. 

지도 그림의 원본 
아트리움에 따른 지도의 펼침 그림
패널 단위로 분해된 모습

본래의 지도 크기는 2.5 x 1.8미터 가량. 폴라 셰어는 벽화 작업을 위해 화가 마이클 임레이(Michael Imlay)를 찾았다. 그들은 지도 원화의 부분 부분을 패널 위에 확대 영사하는 방식으로 지도의 확대 버전을 만들었고, 확대된 지도는 총 100개의 패널에 그려져, 건물 내부 벽체와 천정에까지 정교하게 설치되었다. 

all photos by Ian Roberts 

아트리움에 서면 지도 속에 들어선 기분이 아닐지. 폴라 셰어의 지도 벽화 프로젝트 이야기는 아래 펜타그램 홈페이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Pentagram] New Work: Queens Metropolitan Campu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9-02 | 방사능 통제

2011년 거대한 쓰나미가 야기한 방사능 위기는 아직도 진행형입니다. 내년 봄이면 후쿠시마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방류될 것입니다. 2011년 그해 가을, 함부르크 독빌 페스티벌에는 100명의 방사능 병정들이 등장했습니다. 루스인테르툽스는 고개를 숙인 채 어딘가로 향하는 방사능 처리 요원들의 모습을 통해 방사능의 안전 신화가 무너진 현실의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2008-08-11 | 올시티의 영화 포스터 디자인

올시티의 활동 무대는 영화입니다. 2000년부터 이 런던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파트너로서 인상적인 홍보물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업을 살펴보았는데요. 13년이 지난 지금, 올시티의 포트폴리오에는 영화 외에도 넷플릭스, HBO 등 스트리밍 플랫폼 상영작을 위한 작업이 눈에 띕니다. 또 전통적인 인쇄 홍보물에서 모션, 온라인 등 홍보물 자체의 매체 변화도 흥미롭고요. 영화, 드라마, TV 쇼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도 새삼 실감하게 됩니다.

2011-02-14 | 시로 쿠라마타와 에토레 소트사스

2011년 도쿄의 21_21 디자인 사이트에서 시로 쿠라마타와 에토레 소트사스의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소트사스가 멤피스 동참을 권유하는 편지를 쿠라마타에게 보내면서, 두 사람의 오랜 교류가 시작되었죠. 전시에서는 ‘달이 얼마나 높은지’와 같은 80년대 이후 쿠라마타의 대표작과 드로잉에서 태어난 소트사스의 2000년대 연작인 ‘카치나’를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