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Editor’s Comment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작업하던 BP의 석유시추선이 폭발했다. 그 날 이후, 심해 유정은 막대한 양의 원유를 토해냈다다. 지난 주말 차단돔 시험 가동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니, 사고 발생 석 달 만에 간신히 거둔 ‘진전’이다. 그러나 이미 수억 리터의 기름이 바다에 흘러 든 연후다. 풍부함을 자랑했던 멕시코만의 해양생태계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천연자원보호협회(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가 이번 원유 유출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인포그래픽을 통해 설명한다. 수면에서 해저까지 스크롤로 화면을 내려가는 동안, 그 동안 “눈으로 볼 수 없었던” 바다 속 피해 상황이 이어진다. 부유하는 기름으로부터 시작해, 바다 속 물고기, 고래를 지나, 해저 산호초까지, 그래픽은 해양 생태계의 피해 양상을 하나하나 짚어 간다. 

인포그래픽의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Jason Bishop)은 심해 속으로 잠수해 들어가는 듯한 화면 구성으로, 보는 이들이 그래픽이 전하는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한다. 아래 천연자원보호협회 홈페이지에서 “멕시코만 사태의 수면 아래”를 살펴보시길. 

www.nrdc.or
https://www.nrdc.org/stories/how-deep-were-impacts-bp-oil-spill (2020년도 인포그래픽)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10 | 2010 터너상 시상식

수잔 필립스는 장소에서 출발해 그곳에 소리를 부여하여, 공간과 맥락과 사람 사이에 새로운 반향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그리고 2010년 사운드 설치작가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터너상을 수상했지요. 한편 오늘 뉴스의 제목이 터너상 ‘시상식’인 데에는 수상자 발표 외에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으니, 2010년 터너상 시상식장은 시위의 현장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22일의 옛 뉴스에서 보았던 재정긴축의 여파에서 미술 부문도 예외가 아니었지요.

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메타버스에서 온 청사진: 리모와 첫 NFT 컬렉션

독일의 수하물 제조업체 리모와(RIMOWA)는 디자인 스튜디오 누바(NUOVA)와 협력하여 첫 NFT컬렉션 ‘메타버스에서 온 청사진(blueprints from...

2010-09-06 | 그리기와 소리의 결합

그는 디자이너이자 전자음악가이며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2010년 열린 전시 ‘소리 주입’은 예술과 디자인과 기술이 어우러진 그의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가령 선에 소리를 담는 펜과 선에 담긴 소리를 재생하는 펜이 짝을 이루었던 ‘녹음 & 재생’ 펜처럼요. 유리 스즈키는 2018년 디자인 회사 펜타그램에 파트너로 합류하였고, 그의 존재로 펜타그램의 영역에 ‘사운드’가 더해졌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