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Editor’s Comment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시장조사기관 닐슨(Nielsen)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을 조사해 발표했다. 스마트폰은 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1/4을 차지하며,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여 가는 중이다. 아직 시장에서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한 것은 아니나, 변화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단계에 이른 지도 모른다. 

이동통신사들은 종래의 음성통화 중심의 수익 구조를 고수하기 어려워졌다. 여기에 데이터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통신사들의 데이터 요금제의 재정비가 불가피하리라는 예측도 등장했던 바, 실제로 올해 AT&T가 무제한 데이터 플랜을 폐지했다. 역시 핵심은 데이터다. 닐슨은 미국 내 6만여 명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 분석했다. 

과연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매달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소비하고 있을까. 결과는 상당히 흥미롭다. 먼저 평균 데이터 소비량의 증가가 눈에 띈다. 작년 1/4분기 1인당 월별 평균 데이터 소비량은 90MB. 그러나 1년 만에 평균 사용량은 298MB로 껑충 뛰었다고. 하지만 이러한 증가가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들 사이에 고루 적용되지는 않는다. 

데이터 트래픽 증가를 주도하는 것은 소위 ‘헤비 유저’들이어서, 상위 6%의 사용자들이 전체 데이터의 중 50%를 소비하였다. 반대로 거의 데이터를 쓰지 않는 사용자들도 상당수인 바, 닐슨의 조사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 가운데 25%가 데이터를 전혀 소비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그들의 스마트폰은 여전히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용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비단 사용자들의 무지 때문이라 결론짓기는 어렵다고. 전체 사용자의 1/3에 달하는 데이터 요금제 미가입자들 대부분은 이동통신사가 데이터 요금제를 마련하기 ‘이전에’ 계약한 사람들이기 때문. 닐슨은 스마트폰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과 함께, 데이터 요금 미가입자들을 포용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Nielsen] Quantifying the Mobile Data Tsunami and its Implication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7-09 | [웹갤러리] SevenRoads.org

디자인플럭스 초창기, 뉴스 속 하나의 코너로 마련되었던 [웹갤러리] 시리즈. 오늘은 그중 책에 남은 출판 라벨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인 세븐로즈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멀리는 1841년 발행된 책에서부터 지역으로는 여기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운영자들이 수집한 각종 라벨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입니다. 오늘자 뉴스로 이곳을 소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더욱 반가운 세븐로즈를 만나봅니다.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2010-06-17 | 킨들 ‘몰스킨’ 커버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 휴대용 기기 시장과 함께 서드파티 액세서리 시장도 성장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10년 몰스킨이 선보인 아마존 킨들용 커버입니다. 많은 애호가에게 사랑받는 몰스킨 노트의 모습은 그대로이되 안에 킨들을 품고 있습니다. 그저 몰스킨 노트의 외양만 차용한 액세서리는 아니라는 듯, 커버의 다른쪽 면은 진짜 공책을 위한 자리입니다. 흥미롭게도 몰스킨은 제 방식대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공존 방법을 궁리해온 “공책 해커”들의 작업에서 제품 아이디어를 얻었다고요. 그렇게 “전자책벌레”를 위한 몰스킨의 제품이 탄생했습니다.

Design of Voice #1 낯선 세계에서 발견하는 공통의 감각 – 『서울의 엄마들』 돌봄, 그 행위와 가치에 대하여

‘누군가를 돌보기 위해 일까지 그만둬야 한다고?’  코로나19로 어수선한 어느 날, 한 기사를 보고 적잖게 놀랐다. 바로 ‘돌봄노동’에 관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