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Editor’s Comment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야기할 때마다 거론되는 영화가 있으니, <마이너리티 리포트>다. 지난 달 TED에 영화 속 바로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실제 창안자인 존 언더코플러(John Underkoffler)의 발표 영상이 올라왔다. 그는 이 자리에서 ‘G-스피크’를 시연하며, 데이터를 익숙한 ‘공간’의 체계 안에서 탐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지금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의 최전선이라면, 여기 어느 대학원생의 인터페이스도 그에 못지 않다. 필요한 장비도 그리 거창하지 않다. 컴퓨터 웹캠에 알록달록한 라이크라 장갑이 전부이다. 

MIT 컴퓨터과학 & 인공지능 연구소의 대학원생 로버트 왕(Robert Wang)과 부교수 요반 포포비치(Jovan Popović)가 공동으로 ‘저렴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장갑은 열 가지 서로 다른 색상의, 스무 가지 얼룩들로 나뉘어 있다. 웹캠이 이 색상들의 대비를 인식, 손의 움직임과 제스처를 스크린 위 손의 3D 모형에 반영한다. 말하자면 마우스와 포인터가 손과 손의 3D 모델로 대치한 셈이다. 

로버트 왕과 요반 포포비치의 인터페이스는 특히 비디오 게임 분야에 적합해 보인다. 플레이어는 게임 속에서 아이템을 집거나 무기를 쥐고 휘두르는 등의 행동을 보다 실감나게 컨트롤할 수 있을 것이다. 왕과 포포비치는 이 인터페이스가 공학자와 디자이너들에게도,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3D 모델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러시아 군사 보급품 공급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낯설고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3월 22일...

15%를 위한 보라색: #WeThe15

2021년 8월 19일, 디자인 스튜디오 펜타그램(Pentagram)에서 새로 출범하는 인권 운동 ‘#위더15(#WeThe15)’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공개했다....

2011-07-28 | 과일들

디자이너 히사카즈 시미즈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 ‘익서스’ 시리즈의 수석 디자이너이면서 동시에 사보 스튜디오를 설립해 개인 작업을 병행해왔습니다. 2011년 비비드 갤러리에서 열린 ‘과일들’은 후자의 디자이너로서 연 개인전이었죠. 한편 이 전시의 큐레이팅은 에이조 오카다가 맡았습니다. 디자인 디렉터로서, 또 디자인 블로그 dezain.net의 운영자로서 활동해온 그는 ‘과일들’ 이전에도 몇 차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고 하죠. 그리고 이듬해, 두 사람은 S&O 디자인이라는 산업디자인 스튜디오를 함께 설립하여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