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01 | 아디다스 월드컵 서체

Editor’s Comment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위한 아디다스의 커스텀 서체 ‘유니티’. 디자인을 맡은 브라질의 디자이너 요마르 아우구스투는 월드컵 공인구인 ‘자블라니’에서 서체 디자인이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공을 장식한 둥근 모서리의 삼각형을 기저로 그 위에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이지요. 축구공에서 출발한 2010 월드컵 서체 디자인을 되돌아봅니다. 

요마르 아우구스투(Yomar Augusto)라는 이름이 낯설지는 몰라도, 월드컵이 한창인 지금 우리는 그의 서체를 매일처럼 보고 있다. ‘유니티(Unity)’는 아디다스를 위한 커스텀 서체로, 현재 아디다스의 월드컵 시즌 광고에서 선수들의 유니폼에 이르기까지, 이번 월드컵과 관련된 아디다스의 거의 모든 영역에 전면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폰트피드 FontFeed>와의 인터뷰에서, 아우구스투는 ‘유니티’ 프로젝트에 관해 설명한다. 서체의 출발점은 바로 자블라니. 공에 등장한 ‘모서리 둥근 삼각형’이 서체디자인의 기초로서 이는 숫자 6, 8, 9 부분에 특히 잘 드러난다. 그는 이번 작업이 “자블라니에서 영감을 얻어, 핵심 형태의 에너지를 유지하는 가운데 여기에 타이포그래픽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이었다고 설명한다. 

디자이너 요마르 아우구스투는 브라질 출신의 차세대 디자이너로, 현재 로테르담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바로 얼마 전 상하이에서 개최된 ‘서체를 믿지 마세요(Don’t Believe the Type)’에서, 강연 및 캘리그래피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www.yomaraugusto.com

via fontshop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2007-07-12 |〈뉴욕타임스〉의 비범한 간판

2007년 <뉴욕타임스>는 근 100년 가까이 머물던 웨스트 43번가 229번지를 떠나 새 건물로 이사합니다.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52층의 유리 타워로요. 이제부터 이곳이 <뉴욕 타임스>의 본사임을 알릴 대형 간판이 필요했습니다. 건물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뉴욕의 까다로운 조닝 규정도 지킬 간판의 디자인 작업은 펜타그램의 몫이었습니다. ‘10,116 포인트 크기’의 로고가 어떻게 신축 타워의 파사드에 안착하였는지,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