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Editor’s Comment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올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이색’ 참석자라면, 역시 4만 마리의 꿀벌들을 꼽을 수 있겠다. 벌들을 초청한 주인공은 디자이너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Tomas Gabzdil Libertiny). 2007년 꽃병 ‘벌들의 도움으로(With a Little Help of the Bees)’에서 벌들의 힘을 빌렸던 그가, 신작‘참을 수 없는 가벼움(Unbearable Lightness)’에서 다시 한 번 꿀벌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번 작품에서도, 꿀벌들은 말없이 ‘조형’의 소임을 다했다. 

밀폐된 유리 상자 속에는 두 팔을 벌린 채 하늘을 바라보는 한 남자의 상이 들어 있다. 스튜디오 리베르티니는 레이저 소결 방식으로 제작된 기본 뼈대를 만들었고, 이를 벌들에게 인계하였다. 벌들은 여기에 열심히 집을 짓고 꿀을 날라 뼈대 위에 살을 입혔다. 

스튜디오 리베르티니의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

완성된 조상에서 꿀을 제거하는 것이 마지막 단계. 스튜디오 리베르티니는 여기에서 프로세스를 잠시 중단하고, 본래 하얀 색인 벌집에 빨간색과 주황색을 입혔고, 이 상태로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전시장으로 작품을 옮겼다. 그리고 지난 14일, 전시 현장에서 작품의 완성 단계가 관람객들 앞에서 진행되었다. 벌들은 꿀을 먹어 치워 마침내 작품의 ‘청소’ 작업을 완결한 것. 

‘벌들의 도움으로’를 통해 일약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스튜디오 리베르티니. 이후 ‘빅 블루 캐비닛(The BiC Blue Cabinet)’ 등의 인상적인 작업을 선보였지만, 신작에서 그는 2007년의 성공을 재연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규모는 더욱 커졌고, 형태도 더욱 정교해졌으되, 자연의 “통제(control)”라는 주제가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서도 반복된다.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와 4만 마리 꿀벌의 두 번째 프로젝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은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 부스에서 전시되었다. 

www.studiolibertiny.com
www.cwgdesign.com
www.designmiami.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BBC ‘새’ 로고 디자인 논란

2021년 상반기, BBC가 새 로고를 공개한 후, 세금 낭비라는 항의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2011-06-30 | 달에 빌다

2011년 3월 11일 오후, 진도 9.0의 강진이 쓰나미와 함께 일본 동부 해안을 강타했고, 그 여파로 원자력 발전소마저 폭발했습니다. 유례 없는 재난과 재앙이 한창이던 3월 19일, 밤하늘에 유난히 커다란 보름달이 떠올랐습니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슈퍼문의 밤이었습니다. 캄캄한 현실 속 희망의 등불처럼 떠올랐던 그 달의 기억을, 노자이너가 조명으로 재현하였습니다. 달을 빼어닮은 노자이너의 LED 조명 ‘달’입니다.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