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8 | 디자인 프로브 ‘메타모포시스’

Editor’s Comment

2020년 팬데믹의 한 해를 지나며, 집은 그야말로 피난처이자 안식처가 되었습니다. 감염의 위험을 안은 외부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해, 때로 자신을 집에 가두어야만 했습니다. 아직 진행형인 팬데믹의 와중에,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상상된 근미래의 집을 되돌아봅니다. 디자인 프로브의 ‘메타모포시스’는 집을 일종의 필터로 규정하며, 외부의 나쁜 요소를 걸러내면서도 자연을 안으로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태를 연구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주제가 조금은 더 가깝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근미래’ 디자인 연구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 그 최신 연구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는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하는 주거공간을 겨냥한다. 

“집은 일종의 필터로서, 오염된 공기나 전자기 스모그, 산업 소음을 걸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자연광, 공기, 자연의 소리 역시 차단된다. ‘메타모포시스’는 좀 더 유연한 필터로서의 집, 주거공간을 생각한다. 가령 ‘희미한 빛(Shimmer)’은 유연한 건축물로서, 플렉서블한 띠들이 형태를 바꾸며 자연의 빛과 공기를 실내로 들인다. 이처럼 외부의 ‘나쁜’ 요소들은 제한하면서, 동시에 자연을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다. 

“건축 환경은 우리를 자연의 리듬으로부터 떨어뜨려 놓았다. 계절과 시간은 우리에게 내재한 본능적 반응을 일깨우지만, 오늘날 우리가 살고 일하는 공간들은 바깥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메타모포시스’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우리의 감각적 경험과 생활양식에 미친 효과를 보여준다.” 필립스 디자인 내 디자인주도 혁신 팀 수석 디렉터, 클리버 판 헤이르던의 말이다. 

자연의 리듬을 받아들이는 주거 공간을 상상하며, ‘메타모포시스’에서 필립스 디자인은 빛, 공기, 소리, 신체라는 네 가지 대상을 다룬다. 

‘치유 침대(Healing Bed)’ – 광섬유 캐노피가 바깥의 햇빛, 달빛을 침대로 전송한다. 자외선, 적외선 등 주파수에 따라 특정 빛을 선별하여, 치료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공기 나무(Air Tree)’ – 자연 기류의 리듬에 따라,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습도를 조절한다. 
‘태양광 블로봇(Solar Blowbot)’ – 태양광으로 작동하는 로봇으로, 실내를 움직이며 바람을 생성한다. 공기주입식 주머니가 부풀었다 오그라들며 바람을 만들어낸다. 
‘소리 장벽(Sound Barrier)’ – 소음 필터인 동시에, 외부의 화학물질, 원치 않는 빛 등을 걸러낸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04 | BMW 구겐하임 랩 발표

지난 5월 9일의 소식이 2011년 BMW 구겐하임 랩 1기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면, 오늘은 그보다 앞서 2010년 오늘자로 소개했던 BMW 구겐하임 랩의 기획 발표 소식입니다. 도시를 여행하는 도시 실험실이라는 기획 아래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윤곽과 계획이 공개되었죠. 순서가 바뀌기는 했습니다만, 이 기회에 앞서 공유했던 나중의 뉴스도 함께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2009-12-02 | 콘크리트, 천이 되다

콘크리트에는 틀이 필요하다는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콘크리트 캔버스 사의 ‘콘크리트 천’이 그것입니다. 방염 패브릭과 방수 PVC 사이에 콘크리트 믹스가 든 형태로, 콘크리트 천을 시공한 후 물을 부으면 단단하게 굳어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거뜬히 제 역할을 해냅니다.

팬톤, ‘홍콩 트램 그린’

지난 7월 팬톤과 홍콩 트램웨이즈(HK TRAMWAYS)가 협력하여,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트램의 초록색...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