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8 | 디자인 프로브 ‘메타모포시스’

Editor’s Comment

2020년 팬데믹의 한 해를 지나며, 집은 그야말로 피난처이자 안식처가 되었습니다. 감염의 위험을 안은 외부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해, 때로 자신을 집에 가두어야만 했습니다. 아직 진행형인 팬데믹의 와중에,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상상된 근미래의 집을 되돌아봅니다. 디자인 프로브의 ‘메타모포시스’는 집을 일종의 필터로 규정하며, 외부의 나쁜 요소를 걸러내면서도 자연을 안으로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태를 연구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주제가 조금은 더 가깝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근미래’ 디자인 연구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 그 최신 연구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는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하는 주거공간을 겨냥한다. 

“집은 일종의 필터로서, 오염된 공기나 전자기 스모그, 산업 소음을 걸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자연광, 공기, 자연의 소리 역시 차단된다. ‘메타모포시스’는 좀 더 유연한 필터로서의 집, 주거공간을 생각한다. 가령 ‘희미한 빛(Shimmer)’은 유연한 건축물로서, 플렉서블한 띠들이 형태를 바꾸며 자연의 빛과 공기를 실내로 들인다. 이처럼 외부의 ‘나쁜’ 요소들은 제한하면서, 동시에 자연을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다. 

“건축 환경은 우리를 자연의 리듬으로부터 떨어뜨려 놓았다. 계절과 시간은 우리에게 내재한 본능적 반응을 일깨우지만, 오늘날 우리가 살고 일하는 공간들은 바깥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메타모포시스’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우리의 감각적 경험과 생활양식에 미친 효과를 보여준다.” 필립스 디자인 내 디자인주도 혁신 팀 수석 디렉터, 클리버 판 헤이르던의 말이다. 

자연의 리듬을 받아들이는 주거 공간을 상상하며, ‘메타모포시스’에서 필립스 디자인은 빛, 공기, 소리, 신체라는 네 가지 대상을 다룬다. 

‘치유 침대(Healing Bed)’ – 광섬유 캐노피가 바깥의 햇빛, 달빛을 침대로 전송한다. 자외선, 적외선 등 주파수에 따라 특정 빛을 선별하여, 치료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공기 나무(Air Tree)’ – 자연 기류의 리듬에 따라,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습도를 조절한다. 
‘태양광 블로봇(Solar Blowbot)’ – 태양광으로 작동하는 로봇으로, 실내를 움직이며 바람을 생성한다. 공기주입식 주머니가 부풀었다 오그라들며 바람을 만들어낸다. 
‘소리 장벽(Sound Barrier)’ – 소음 필터인 동시에, 외부의 화학물질, 원치 않는 빛 등을 걸러낸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1-14 | 비녤리 캐논

모더니즘의 충실한 실천가였던 마시모 비녤리가 만년에 디자이너들을 위해 작은 책자를 내놓았습니다. 『비녤리 캐논』은 평생의 작업을 통해 익히고 세운 디자인 원칙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이 책은 반갑게도 2013년 『비녤리의 디자인 원칙』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2010-11-17 | 2010 무토 탤런트 어워드

새로운 관점의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표방하며 출범한 브랜드답게, 무토는 2009년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디자인 학교 재학생이 참여하는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2010년 두 번째로 열린 공모전의 최고상은 스웨덴 콘스트파크에 재학 중이던 3인조 디자이너 왓츠왓 콜렉티브에게 돌아갔는데요. 이들이 선보인 플로어 조명 ‘풀’은 지금도 사랑받는 무토의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