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4 | 그의 문

Editor’s Comment

디자이너 김희원은 여러 장소의 문과 창문을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티 포르타’는 그중 문에 관한 작업입니다. 여러 갤러리와 뮤지엄에서 마주한 문의 풍경을 찍고, 그 모습을 다른 장소의 문에 옮겼습니다. 2010년 ‘푸오리 살로네’의 경우에는 밀라노 엔하우 호텔의 객실 문 위였고요. 오늘의 소식은 김희원의 ‘티 포르타’입니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의 오프사이트 이벤트, ‘푸오리 살로네(Fuori Salone)’. 박람회 전시장이 아닌, 밀라노 시내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전시들이 올해에도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밀라노 엔하우 호텔(Nhow Hotel)에서 열린 디자이너 김희원의 전시회 역시 그 중 하나였다. 

‘티 포르타(Ti Porta)’에서 김희원은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 흔히 간과되곤 했던 ‘문’의 존재를 전면에 부각시켰다. 그는 “평소 소홀하기 쉬운 문에 사진 프린트를 붙여, 공간에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호텔 객실의 문에는 그의 사진 컬렉션 ‘갤러리 도어(Gallery Doors)’의 프린트가 부착되었다. 여러 갤러리, 뮤지엄의 문을 담은 사진들은 모두 문과 문 너머의 공간을 바라보고 있다. 이 사진들이 다시 문 위에 설치되면서, 닫혀 있던 평범한 문들은 다른 공간과 연결된 듯한 착시를 불러 일으킨다. 

‘티 포르타’라는 타이틀은 “당신의 문” 혹은 “당신을 그곳으로 데려가다” 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닫혀 있지만 열린, 이곳이지만 동시에 저곳이기도 한 문들을 통해, 김희원은 문 앞에 선 이들을 다른 어딘가로 인도한다. 

‘티 포르타’는 2009 DMY에 이어 올해 ‘푸오리 살로네’ 및 ‘인스피레이션 투 패브리케이션(Inspiration to Fabrication)’ 두 개의 전시를 통해 밀라노에서 다시 한 번 관객들과 만났다. 디자이너 김희원은 현재 아틀리에 멘디니(Atelier Mendini)에서 제품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며, 더불어 개인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www.kimheewo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숲 속의 회의장

영국 디자이너 에스 데블린(Es Devlin)은 2021년 10월 31일부터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리고 있는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