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Editor’s Comment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Boy (9-11) wearing white t-shirt, portrait

OLPC에 이어 다시 한 번, 이브 베하(Yves Behar)와 퓨즈프로젝트(Fuseproject)가 아이들을 위한 멋진 디자인에 나선다. 이브 베하와 그의 디자인 팀이, 멕시코 정부의 함께 무료 안경 제공 프로그램, ‘잘 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See Better To Learn Better)’을 전개한다.

연구에 따르면 취학 아동의 11%가 시력 문제 때문에 학업에 방해를 받는다고 한다. 칠판의 글씨가, 책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기에 벌어지는 일이다. 멕시코에서 이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다. 모레요스, 소노라, 치아파스 주의 취학 아동 가운데 60~70%가 교정 렌즈를 필요로 하며, 시력 보정 안경이 필요한 아이들 50만 명이 매년 또 입학한다. 시력 검사 및 안경 구입 비용도 부담이지만, 아이들 역시 안경을 낀다는 사실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다. 안경을 끼면 놀림거리가 된다는 이유다.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다.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 팀은 안경의 디자인에 특히 관심을 기울였다. 안경테의 소재로는 극도로 가볍고 유연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튼튼하다. 독특한 것은 안경테의 조립 방식이다. 안경테는 상하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다른 색상이나 모양의 프레임을 조합하면 재미 있는 안경테가 완성된다. 안경 착용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다. 

퓨즈프로젝트는 OLPC 개발 때와 비슷하게, 아이들의 요구와 생활, 환경에 부합하는 안경을 디자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비영리적인 디자인 역시 영리적 목적의 작업만큼이나 감성적인 소구와 효율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인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작업이기도 하다.

무료 안경의 배포는 바로 이달부터 시작되었다. 매년 30만 개의 안경이 멕시코 아이들에게 전달될 것이다. 안경 생산을 맡은 멕시코의 렌즈 생산 기업 아우헨(Augen)은 이 프로그램을 위해 엔세나다에 새 안경 생산 시설을 마련하며, 생산 비용을 50% 가까이 절감했다. 이는 무료 안경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긍정적인 기반이다. 한편 무료 안경 프로그램을 멕시코 이외의 국가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 중이다. 이 안경이 앞으로 더욱 많은 아이들에게 선명한 세상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www.fuseprojec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런던 지하 대피소 경험: ‘비밀 대피소 챌린지’

런던 교통 박물관(London Transport Museum, 이하 LTM)과 게임 개발사 뮤세미오(Musemio)가 어린이를 2차 세계대전의 지하...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