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Editor’s Comment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Boy (9-11) wearing white t-shirt, portrait

OLPC에 이어 다시 한 번, 이브 베하(Yves Behar)와 퓨즈프로젝트(Fuseproject)가 아이들을 위한 멋진 디자인에 나선다. 이브 베하와 그의 디자인 팀이, 멕시코 정부의 함께 무료 안경 제공 프로그램, ‘잘 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See Better To Learn Better)’을 전개한다.

연구에 따르면 취학 아동의 11%가 시력 문제 때문에 학업에 방해를 받는다고 한다. 칠판의 글씨가, 책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기에 벌어지는 일이다. 멕시코에서 이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다. 모레요스, 소노라, 치아파스 주의 취학 아동 가운데 60~70%가 교정 렌즈를 필요로 하며, 시력 보정 안경이 필요한 아이들 50만 명이 매년 또 입학한다. 시력 검사 및 안경 구입 비용도 부담이지만, 아이들 역시 안경을 낀다는 사실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다. 안경을 끼면 놀림거리가 된다는 이유다.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다.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 팀은 안경의 디자인에 특히 관심을 기울였다. 안경테의 소재로는 극도로 가볍고 유연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튼튼하다. 독특한 것은 안경테의 조립 방식이다. 안경테는 상하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다른 색상이나 모양의 프레임을 조합하면 재미 있는 안경테가 완성된다. 안경 착용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다. 

퓨즈프로젝트는 OLPC 개발 때와 비슷하게, 아이들의 요구와 생활, 환경에 부합하는 안경을 디자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비영리적인 디자인 역시 영리적 목적의 작업만큼이나 감성적인 소구와 효율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인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작업이기도 하다.

무료 안경의 배포는 바로 이달부터 시작되었다. 매년 30만 개의 안경이 멕시코 아이들에게 전달될 것이다. 안경 생산을 맡은 멕시코의 렌즈 생산 기업 아우헨(Augen)은 이 프로그램을 위해 엔세나다에 새 안경 생산 시설을 마련하며, 생산 비용을 50% 가까이 절감했다. 이는 무료 안경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긍정적인 기반이다. 한편 무료 안경 프로그램을 멕시코 이외의 국가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 중이다. 이 안경이 앞으로 더욱 많은 아이들에게 선명한 세상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www.fuseprojec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성층권 비행선 ‘넵튠’ , 라운지 디자인 공개

우주 관광 기업 스페이스 퍼스펙티브(space perspective)에서 성층권을 여행하는 비행선 ‘넵튠(Neptune)’의 캡슐 라운지 디자인을 공개했다.'넵튠'의...

2010-09-13 | 이베이 박스

팬데믹을 지나며 미국에서도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안전과 편의가 낳은 부작용 가운데 하나라면 포장 폐기물의 증가입니다. 배송이 유일한 판매 방식인 기업들은 그래서 전통적인 일회용 종이 박스 대신에 재사용 박스를 도입하기도 했죠. 2010년 이베이는 종이 박스이면서도 최소 5번의 재이용을 꾀하는 포장을 모색했습니다. 이름하여 ‘이베이 박스’는 그것이 이베이이기에 가능한 발상이었습니다. 구매자가 판매자가 되기도 하고 판매자가 구매자가 되기도 하는 곳이었으니까요.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은 이베이 박스 홈페이지 링크도, 이베이 그린 팀의 홈페이지 링크도 갈 곳을 잃었습니다.

2010-08-04 | 비행 도시

유서 깊은 도자 기업과 현대미술가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님펜부르크 처음으로 협업을 청한 '미술가'는 카르슈텐 횔러입니다. '비행 도시'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이자 미술가인 게오르기 크루티코프가 구상한 동명의 도시 구상 그리고 1894년 찰스 베넘이 발명한 흥미로운 색상 착시 장난감을 원천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통상의 제품 형식과 '설치 작품'의 형식 두 가지로 결과물을 선보였지요. 오늘은 도자 기업과 미술가의 흔치 않은 만남을 다시 살펴봅니다.

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