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5 | 마르턴 바스의 ‘실시간’, 아이폰 속으로

Editor’s Comment

2009년 마르턴 바스는 영화의 형식을 한 시계를 가지고 밀라노를 찾았습니다. 시간의 매체로 시간의 기계를 구현한 셈이었지요. ‘실시간’ 시리즈는 비록 외장 하드드라이브의 몸체를 가졌으되, 12시간 러닝타임의 영상으로 시간을 표현한 어엿한 시계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실시간’ 중 하나가 아이폰 앱 형태로 다시 찾아왔으니, 이름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입니다.

마르턴 바스의 2009년 작 ‘실시간(Real Time)’ 시리즈 중 하나가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이 되어 찾아온다.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Analog Digital Clock)’는 전형적인 ‘디지털’ 시계의 모습이지만, 실제로 시간이 뒤에 있는 사람의 힘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시계이기도 했다. 

때로 시계 속의 사람은 숫자 세 개를 모두 바꿔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60초가 지나면 재깍 숫자가 변하는 정확한 시계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시각이 ‘완성’되기를 기다리는 것이야말로 이 시계의 묘미다. 사용자는 잠깐 현재 시각을 확인하는 대신, 숫자가 ‘변하는’ 순간을 지켜보고 싶어질 것이며, 숫자보다 숫자 창 너머로 어른대는 사람의 그림자에 시선을 빼앗길 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마르턴 바스의 시계는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지켜보도록 한다. 

HD 영상으로 외장 하드드라이브에 담겨 판매되었던 이 시계가 이번에는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버전으로 판매된다. 미술관과 수집가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그의 디자인을 1달러에 즐길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번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 애플리케이션은 마르턴 바스와 스바로브스키 프로덕션이 함께 개발하였다. 

www.maartenbaas.com
www.svarovsky-productions.com
[iTunes store] Analog Digital Cloc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08-10-08 | 스트리트 아트 x 사진

“JR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 있습니다. 사진 콜라주 기법 덕분에, 작품을 무료로 온 세상의 벽에 전시하여, 평소에 박물관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끕니다.” 물론 그 세상의 벽 중에는 실제의 갤러리, 뮤지엄들도 포함되지요. 여기 2008년 테이트 모던의 벽이 그러했고, 바로 얼마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천장과 바닥이 그랬던 것처럼요.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