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Editor’s Comment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새로 지은 집, 멋진 가구들. 건축, 인테리어 잡지들을 펼치면, 현대 주택의 매혹적인 편린들이 눈 앞에 달려든다. 하지만 그 세련된 집에서 다른 의미를 엿보는 곳이 있으니, 블로그 언해피 힙스터(Unhappy Hipsters)다. “현대적인 세계에서는 외롭다(It’s lonely in the modern world)”는 블로그의 부제가 암시하듯, 언해피 힙스터는 잡지에 실릴 만한 생활 공간들을 삐딱하게 바라본다. 

http://www.designflux.co.kr/data/dailynews/2010/03/0315/nj02_01.jpg
photo: Gunnar Knechtel; <Dwell>, September 2006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한 벽과 통유리 벽으로 둘러싸인 침실. 2006년 9월《드웰 Dwell》에 소개된 침실에 대한, 언해피 힙스터 식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방의 모습을 엄격히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잦은 창문 물청소와 마른걸레질을 그녀는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었다. 침대는 이러한 사태의 결과다.” 이런 침실에서 살면 창문 닦느라 침대 정리할 시간도 없겠다는 촌평이다. 

“제대로 된 테이블을 놓을 공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아파트 크기는 56평도 넘으니까. 인생에 그저 딱 들어맞는 뭔가가 필요했을 뿐이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Raimond Koch; <Dwell>
“그는 흥분한 건축주를 다시 설득했다. 비록 창문이 하나뿐이기는 해도, 어긋 쌓은 상자집도 꽤 살 만한 곳이라고.” – 언해피 힙스터 
photo: Andy Friedberg; <Dwell>, March 2007
“아이들은 아버지 때문에 ‘미국 건축에 바우하우스가 미친 영향’에 관한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시청해야 했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Marc Seelen, <Dwell>, September 2008

<크리에이티브 리뷰> 블로그는 “요 며칠 우리를 정말 즐겁게 해준 텀블러 블로그”라며 언해피 힙스터를 소개했다. 힙스터의 삶에서 불편을 감지하는 삐딱한 시선. 블로그 포스트들을 살펴 보노라면, ‘그래 맞아’ 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https://unhappyhipsters.tumblr.com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2011-07-15 | 도자 종이컵

어떤 물건은 소재가 너무 중요해 그것이 이름이 되기도 합니다. 종이컵도 그런 것들 중 하나죠. 종이컵은 또 일회용 문화를 대표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스코틀랜드의 도예 디자이너 레베카 윌슨은 이 종이컵에 웨지우드 재스퍼웨어와 델프트 자기의 외양을 입혔습니다. 다만 하나는 오로지 수제 종이로 된 시트로, 다른 하나는 포슬린과 펄프 혼합 용액으로 만든 시트로요. 윌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최상급’ 종이컵이라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