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Editor’s Comment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새로 지은 집, 멋진 가구들. 건축, 인테리어 잡지들을 펼치면, 현대 주택의 매혹적인 편린들이 눈 앞에 달려든다. 하지만 그 세련된 집에서 다른 의미를 엿보는 곳이 있으니, 블로그 언해피 힙스터(Unhappy Hipsters)다. “현대적인 세계에서는 외롭다(It’s lonely in the modern world)”는 블로그의 부제가 암시하듯, 언해피 힙스터는 잡지에 실릴 만한 생활 공간들을 삐딱하게 바라본다. 

http://www.designflux.co.kr/data/dailynews/2010/03/0315/nj02_01.jpg
photo: Gunnar Knechtel; <Dwell>, September 2006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한 벽과 통유리 벽으로 둘러싸인 침실. 2006년 9월《드웰 Dwell》에 소개된 침실에 대한, 언해피 힙스터 식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방의 모습을 엄격히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잦은 창문 물청소와 마른걸레질을 그녀는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었다. 침대는 이러한 사태의 결과다.” 이런 침실에서 살면 창문 닦느라 침대 정리할 시간도 없겠다는 촌평이다. 

“제대로 된 테이블을 놓을 공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아파트 크기는 56평도 넘으니까. 인생에 그저 딱 들어맞는 뭔가가 필요했을 뿐이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Raimond Koch; <Dwell>
“그는 흥분한 건축주를 다시 설득했다. 비록 창문이 하나뿐이기는 해도, 어긋 쌓은 상자집도 꽤 살 만한 곳이라고.” – 언해피 힙스터 
photo: Andy Friedberg; <Dwell>, March 2007
“아이들은 아버지 때문에 ‘미국 건축에 바우하우스가 미친 영향’에 관한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시청해야 했다.” – 언해피 힙스터
photo: Marc Seelen, <Dwell>, September 2008

<크리에이티브 리뷰> 블로그는 “요 며칠 우리를 정말 즐겁게 해준 텀블러 블로그”라며 언해피 힙스터를 소개했다. 힙스터의 삶에서 불편을 감지하는 삐딱한 시선. 블로그 포스트들을 살펴 보노라면, ‘그래 맞아’ 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https://unhappyhipsters.tumblr.com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28 | 헬프의 새 포장 디자인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헬프라는 이름의 제약 회사는 많은 것을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했습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평문으로 된 증상을 강조한 제품명처럼 말이죠. 2011년 헬프는 “테이크 레스”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미니멀의 기조는 여전히 유지하되 시각성을 조금 더 높이는 방향으로요. 

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2011-10-28 | 미생물의 집

디자인 프로브는 필립스가 운영했던 미래 라이프스타일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소개했던 2010년의 ‘메타모포시스’에 이어 2011년 필립스가 구상한 미래의 집은 미생물을 이용한 자급자족의 집입니다. ‘미생물의 집’이 그리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요소들입니다. 토기로 된 증발식 냉장고라던가 벌통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재래식 변기처럼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