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 2010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Editor’s Comment

신종바이러스의 시간을 지나며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가상으로 전환된 지금, 사상 최대의 규모를 도모했던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에서, 유독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뉴스로 오르내린 영국의 국가관 소식을 돌아봅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섬모형 매스의 파빌리온 ‘씨앗 전당’입니다. 

상하이 엑스포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중국은 이번 행사에 베이징 올림픽 두 배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며, 사상 최대의 엑스포를 준비하고 있다. 엑스포에 참가할 200여 개국의 파빌리온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역시 영국관일 것이다. 영국무역투자청(UKTI)이 지난 1일 자국관의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설계를 맡은 헤더윅 스튜디오(Heaterwick Studio)는 전방향으로 발산되는 ‘섬모’의 매스를 구상했다. 수많은 개인정원과 공공공원을 자랑하는 영국의 국가관답게, ‘씨앗 전당(Seed Cathedral)’은 자연을 닮았다. 

영국관 ‘씨앗 전당’은 6만 개의 투명 아크릴 막대들로 이뤄진 구조물로, 막대 하나하나마다 실제 식물의 씨앗과 조명 광원을 품고 있다. 낮 동안 광섬유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밤에는 반대로 막대 내부의 광원으로 건물을 밝힌다. 막대들의 길이는7.5미터. 바람이 불면 흔들릴 만큼 길쭉하다. 실제로 ‘씨앗 전당’은 바람에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며 역동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 ‘씨앗 전당’의 6만 개 막대들은, 엑스포 폐막 이후 중국과 영국의 학교 자재로 재활용될 예정이라고.

중국인들은 이미 이 건물에 “민들레홀씨”라는 애칭을 선사했다. 헤더윅 스튜디오의 ‘씨앗 전당’은 건축된 것이 자명한 주변 다른 국가관들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져 보일 것이다. 토마스 헤더윅은 말한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물을 완성하기까지 팀의 공헌은 막대했다. 건물이 완공되어 기쁘고, 행사 기간 동안 수백만의 방문객들이 이 곳을 즐길 수 있길 기대한다.”

www.heatherwick.com
www.uktradeinvest.gov.uk
www.expo2010.c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14 | 소재 탐구: 젤포

어떤 디자인은 소재에서 출발하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젊은 디자이너 엘리제 가브리엘은 ‘포옹’이라는 이름의 컬렉션을 통해 ‘젤포’라는 이름의 신소재를 제품 디자인에 끌어 안습니다. “예측을 뛰어넘는 의외의 요소가 매력”이라는 이 낯선 소재가 테이블, 의자, 조명처럼 익숙한 사물에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2011년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인류학적 디자인, 디자인 인류학의 연구들

인류학은 인간 보편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다양하고 특수한 민족지(知)를 구성함으로써 문명적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2010-09-08 | 로고 여행자

세계 어디에서나 마주칠 만한 눈에 익은 로고들이 한 도시의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이름하여 ‘로고 여행자’는 핀란드의 리스토-유시 이소파칼라가 로고로 그려낸 도시 풍경 시리즈입니다. 12년 전 오늘의 기사에서는 그중에서도 파리의 정경이 소개되었죠. 에펠탑, 루브르 박물관, 물랭 루즈, 개선문 등 도시의 랜드마크가 수백 개의 로고로 구현되었습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