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 2010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Editor’s Comment

신종바이러스의 시간을 지나며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가상으로 전환된 지금, 사상 최대의 규모를 도모했던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에서, 유독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뉴스로 오르내린 영국의 국가관 소식을 돌아봅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섬모형 매스의 파빌리온 ‘씨앗 전당’입니다. 

상하이 엑스포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중국은 이번 행사에 베이징 올림픽 두 배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며, 사상 최대의 엑스포를 준비하고 있다. 엑스포에 참가할 200여 개국의 파빌리온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역시 영국관일 것이다. 영국무역투자청(UKTI)이 지난 1일 자국관의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설계를 맡은 헤더윅 스튜디오(Heaterwick Studio)는 전방향으로 발산되는 ‘섬모’의 매스를 구상했다. 수많은 개인정원과 공공공원을 자랑하는 영국의 국가관답게, ‘씨앗 전당(Seed Cathedral)’은 자연을 닮았다. 

영국관 ‘씨앗 전당’은 6만 개의 투명 아크릴 막대들로 이뤄진 구조물로, 막대 하나하나마다 실제 식물의 씨앗과 조명 광원을 품고 있다. 낮 동안 광섬유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밤에는 반대로 막대 내부의 광원으로 건물을 밝힌다. 막대들의 길이는7.5미터. 바람이 불면 흔들릴 만큼 길쭉하다. 실제로 ‘씨앗 전당’은 바람에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며 역동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 ‘씨앗 전당’의 6만 개 막대들은, 엑스포 폐막 이후 중국과 영국의 학교 자재로 재활용될 예정이라고.

중국인들은 이미 이 건물에 “민들레홀씨”라는 애칭을 선사했다. 헤더윅 스튜디오의 ‘씨앗 전당’은 건축된 것이 자명한 주변 다른 국가관들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져 보일 것이다. 토마스 헤더윅은 말한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물을 완성하기까지 팀의 공헌은 막대했다. 건물이 완공되어 기쁘고, 행사 기간 동안 수백만의 방문객들이 이 곳을 즐길 수 있길 기대한다.”

www.heatherwick.com
www.uktradeinvest.gov.uk
www.expo2010.c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18 |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2019년에는 더 콘란숍의 한국 매장 오픈 소식이, 2020년에는 테렌스 콘란 경의 타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1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시간을 되돌려, 지난 2011년 열린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전시를 살펴봅니다. 오랜 후원자 테렌스 콘란을 위한 디자인 뮤지엄의 헌정 전시라고 할까요. 전시는 디자이너로서 또 사업가로서 전후 영국의 라이프스타일 형성에 기여했던 테렌스 콘란의 생애와 이력을 돌아봅니다.

난민을 위한 패션

파슨스 디자인 학교 출신의 안젤라 루나(Angela Luna)는 뉴스를 통해 보여지는 난민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2011-05-16 | 바버오스거비 연구서 출간

런던 왕립예술대학교에서 만난 동갑의 두 학생은 1996년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설립했습니다. 바로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바버오스거비입니다. 이후 바버오스거비는 영국 산업디자인의 주요한 이름 가운데 하나가 되었죠. 2011년에는 그들의 작업을 개관하는 첫 번째 연구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리졸리에서 나온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이 11년 전 오늘의 소식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