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Editor’s Comment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I.D.> 매거진의 55년 역사가 막을 내린다. 12월 15일, 발행사 F+W 미디어가 <I.D.>의 폐간을 공식 발표했다. 1954년 창간된 이래, <I.D.>는 미국의 대표적인 제품디자인 전문 잡지로 자리매김했다. 국내의 제품디자인 학도들 역시 <I.D.>를 탐독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2010년 1/2월호를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고하게 되었다. 

F+W 미디어는 <I.D.>와 같은 대표적인 브랜드의 폐간 결정이 결코 쉽지 않았지만, 몇 가지 피할 수 없는 요인들이 있었다고 설명한다. 지면 광고 감소가 역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한편 여기에 온라인 매체, B2B, 기타 수많은 정보 원천들 속에서, 제품디자인 전문지로서 독자들에게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 역시, 폐간 결정의 배경이 되었다. 

다만 <I.D.>의 ‘애뉴얼 디자인 리뷰’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진행된다. 잡지를 폐간하는 대신, 제품디자인 공모전 애뉴얼 디자인 리뷰에 초점을 맞추어, 새 웹사이트를 열 예정이라고. 과거 방대한 수상작들과 미래의 수상작 정보들이 온라인으로 서비스된다. 

F+W 미디어의 발행자 겸 편집 디렉터, 게리 린치가 전하는 마지막 인사. “지난 55년 동안 <I.D.>를 지탱해주셨던 모든 전현직 스태프, 외부 필자, 독자, 광고주 등, <I.D.> 커뮤니티에 감사를 표합니다.” 

www.id-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1-13 | 덴마크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

종종 북유럽 국가의 교정 시설이 놀라움과 함께 회자되곤 합니다. 분명 수감을 위한 공간인데, 여느 주거 공간 못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겠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덴마크의 교도소 설계 공모 당선작입니다. C. F. 묄레르 아키텍츠는 교도소 건축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인 방사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나의 자족적인 마을처럼 보이는 교도소 시설을 설계하였습니다.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천연가스 배관의 변신, 독일 노르드 스트림 3

독일 건축 스튜디오 오포지트 오피스(Opposite Office)가 설계한 ‘노르드 스트림 3(Nord Stream 3)’가 공개되었다. ‘노르드...

2011-08-05 | 에어론 위드 아트

2011년 허먼 밀러 재팬이 모어 트리와 함께 자선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5인의 미술가, 건축가, 화훼 아티스트가 ‘에어론 의자’를 재탄생시켜 대지진 구호를 도왔습니다. 참고로 허먼 밀러는 지난 봄 또 하나의 유명 가구 브랜드 놀(Knoll)의 인수 합병 소식을 발표했는데요. 놀을 품은 허먼 밀러의 정식 이름은 ‘밀러놀’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