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Editor’s Comment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공식 픽토그램 

10월 16일, 런던 올림픽 조직위원회(LOCOG)가 2012년 올림픽 픽토그램(pictogram) 디자인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총 38개의 픽토그램들은 앞으로 런던 올림픽 사인물에 적용되어, 현장 안내는 물론 런던 올림픽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픽토그램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48년 런던 올림픽. 그리고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에는 올림픽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 이번 올림픽은 픽토그램의 발상지라 할 런던에서 다시금 개최되는 올림픽인 만큼, 픽토그램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컸다. 물론 여기에는 지난 2007년, 공개와 동시에 논란에 휩싸였던 런던 올림픽 로고 디자인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 역시 한몫 했다. 

공개된 2012년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디자인은 순수한 정보 위주의 사인 체계를 넘어서, 보다 현대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공개된 픽토그램은 두 가지 버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실루엣’ 버전은 보다 전통적인 방식, 즉 고도의 가시성 및 정보 전달 기반의 용처에 적합한 디자인이며, ‘다이내믹’ 버전은 포스터나 배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보다 흥미로운 버전이다.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픽토그램이라는 단어를 낯설어 하지만, 디자이너들에게 픽토그램은 좀 더 남다른 단어일 것이다. 가령 오틀 아이허의1972년 뮌헨 올림픽 픽토그램은 아직도 회자되는 픽토그램의 전설적인 사례다.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경우 한자의 탁본처럼 표현한 디자인이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번 2012년 런던 디자인 올림픽 픽토그램은, 로고 디자인이 몰고 온 지나치리만큼 과감한 형태 언어를 가능한 한 수용하여 동일한 브랜드 DNA를 유지하고 있다. 

과연 이번 픽토그램 디자인에 대한 반응은 어떠할지. 런던 올림픽 공식 블로그에는 디자인 과정에 참여한 브랜드 팀원의 포스트가 공개되어 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기를 바란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한편 런던 올림픽 개막 D-1000일인 10월 24일에는, 픽토그램 디자인이 담긴 아디다스의 한정판 티셔츠 판매가 시작된다. 더불어 연말에는2012년 런던 패럴림픽 픽토그램의 전체 디자인도 공개된다고. 

www.london2012.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보이지 않는 방패

영국의 스타트업 ‘인비저블 쉴드(Invisibility Shield Co.)’가 SF 혹은 판타지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2006-08-22 | ‘필립 스탁 하우스 플랜’ 키트

그 목제 케이스 안에는 필립 스탁이 설계한 집의 건축 노트, 설계도, 건축 과정을 담은 비디오테이프, 망치가 담겨 있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내용물도 있었으니, 바로 ‘스탁 하우스’를 지을 권리입니다. 이름하여 ‘필립 스탁 하우스 플랜’은 그가 설계한 집을 직접 짓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한정판 키트였습니다. 2006년 아파트먼트 테라피에서는 고유번호 501번의 키트를 2,000달러에 판매했죠.

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