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Editor’s Comment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Industrial Facility)가 다시 한 번 일본 IDEA와 제품 개발에 나섰다. 이들의 최신작 ‘벨(Bell)’은 전형적인 아날로그 알람 시계를 다시금 탐색한 결과물이다. 소리를 내는 종 부분은 시계의 뒷면에 자리잡고 있다. 덕분에 외관을 한층 단순화하는 한편, 알람 소리는 더욱 우렁차다. 시계의 숫자판은 음각 형식으로 새겨져 있으며, 알람 시계의 기본이라 할 스누즈 버튼과 LED 야간등과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편 벨 소리 크기가 제품의 색상에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유머러스하다. ‘화재 알람 레드(Fire Bell Red)’, ‘자전거 경적 크롬(Bicycle Bell Chrome)’, ‘초인종 블랙(Door Bell Black)’ 등, 색상에 따라 벨소리의 정도를 달리 구성했다고. 시계의 숫자판은 음각 형식으로 새겨져 있으며, 알람 시계의 기본이라 할 스누즈 버튼과 LED 야간등과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극도로 단순한 아날로그 알람 시계의 귀환.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 기간 동안 열린 제품 전시회 ‘도크(The Dock)’에서 첫 선을 보였으며, 10월부터 일본 시장 출시에 이어 12월에는 리테일퍼실리티에서도 판매를 시작한다. 

www.industrialfacility.co.uk
www.idea-i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21 | 던지세요

어제에 이어 또 카메라 이야기입니다. 이번에는 ‘던지는’ 카메라죠. 베를린 공과대학에 재학 중이던 요나스 페일은 36개의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공 모양의 카메라를 만들었습니다. 생김새가 지시하는 대로 카메라를 공중으로 던지면, 36개의 모듈이 동시에 사진을 촬영해 완벽한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죠.

2008-09-02 |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를 이끌었던 바로 그 뮤지션이자 예술가이며 동시에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인 그가 2008년 자전거 보관대를 디자인했습니다. 뉴욕교통국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가 디자인한 보관대들이 뉴욕 곳곳에 설치되었는데요. “그저 미술 작품이 아니라 실용적인 자전거 보관대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게, 기존 보관대와 같은 두께, 같은 소재여야 한다는 점이 내게는 중요했다”는군요. 그렇게 탄생한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는 11개월간 제자리를 지켰습니다.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