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Editor’s Comment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Industrial Facility)가 다시 한 번 일본 IDEA와 제품 개발에 나섰다. 이들의 최신작 ‘벨(Bell)’은 전형적인 아날로그 알람 시계를 다시금 탐색한 결과물이다. 소리를 내는 종 부분은 시계의 뒷면에 자리잡고 있다. 덕분에 외관을 한층 단순화하는 한편, 알람 소리는 더욱 우렁차다. 시계의 숫자판은 음각 형식으로 새겨져 있으며, 알람 시계의 기본이라 할 스누즈 버튼과 LED 야간등과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편 벨 소리 크기가 제품의 색상에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유머러스하다. ‘화재 알람 레드(Fire Bell Red)’, ‘자전거 경적 크롬(Bicycle Bell Chrome)’, ‘초인종 블랙(Door Bell Black)’ 등, 색상에 따라 벨소리의 정도를 달리 구성했다고. 시계의 숫자판은 음각 형식으로 새겨져 있으며, 알람 시계의 기본이라 할 스누즈 버튼과 LED 야간등과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극도로 단순한 아날로그 알람 시계의 귀환.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 기간 동안 열린 제품 전시회 ‘도크(The Dock)’에서 첫 선을 보였으며, 10월부터 일본 시장 출시에 이어 12월에는 리테일퍼실리티에서도 판매를 시작한다. 

www.industrialfacility.co.uk
www.idea-i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23 | 그래피티 x 도자기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초청해, 그래피티와 도자기라는 있을 법 하지 않은 만남을 이뤄냅니다. ‘올 시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도자기 티세트에 그래피티라는 오늘의 시각문화, 오늘의 현실을 입혔습니다. 가령 미스터데오가 티세트에 유가 상승이라는 현실을 말그대로 ‘담았던’ 것처럼요.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가구

스웨덴 디자이너 카롤리나 헤르드(Carolina Härdh)가 스웨덴 예테보리에 위치한 일식 레스토랑 우라(Vrå)와 함께 녹말, 생선...

2010-10-15 | 리얼리티 랩

이세이 미야케가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 생산하는 일의 미래를 고민합니다. 2010년 도쿄 21_21 디자인 사이트에서 열린 전시회 ‘리얼리티 랩’은 리얼리티를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의 의미를 다시금 제기하는 자리였습니다. “디자이너의 임무는 사용자를 위해 생각을 현실로 변환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일종의 ‘현실 실험(Reality Lab)’인 것이다.”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