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23 | 그래피티 x 도자기

Editor’s Comment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초청해, 그래피티와 도자기라는 있을 법 하지 않은 만남을 이뤄냅니다. ‘올 시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도자기 티세트에 그래피티라는 오늘의 시각문화, 오늘의 현실을 입혔습니다. 가령 미스터데오가 티세트에 유가 상승이라는 현실을 말그대로 ‘담았던’ 것처럼요. 

(위부터 차례로)마르, 토스코, 킬로그라마, 이움

대표적인 거리 문화인 그래피티가 고풍스러운 도자기 위에 올랐다.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Cabracega)가 내놓은 ‘올 시티(All City)’는 포르투갈 전통의 도자기 세트이다. 하지만 도자기를 장식한 것은 다름 아닌 그래피티 아티스트들의 작품. 이움(Hium), 미스터 데오(Mr.Dheo), 마르(Mar), 킬로그라마(Quillograma), 토스코(Tosco) 등, 여러 아티스트들의 그래피티가 도자기와 미묘한 화음을 만들어낸다. 

카브라세가는 이러한 방식으로 고풍스러운 도자기를 새롭게 재해석한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시공간을 한데 결합하는 작품이다.” 카브라세가의 설명처럼 ‘올 시티’의 우아한 형태는 우리를 과거로 인도한다. 하지만 여기에 더해진 그래피티는 이 도자기들을 매우 현재적인 무엇으로 만들어낸다. 

미스터 데오, ‘6시의 티타임(6 o’clock tea)’ 
– “올해에만 휘발유 가격은 22%나 상승했다. 올 초 휘발유 1리터 가격은 1.07 파운드였지만, 현재는 1.31 파운드이다.” 미스터 데오는 한가한 티타임의 풍경에 유가 상승의 압력을 담아 냈다. 

카브라세가의 ‘올 시티’는 디자인 비엔날레, 엑스페리멘타 디자인(Experimenta Design)에서 공개되었다. 

www.cabracega.org

via core77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재건

모스크바에 위치한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분관인 헥사곤 파빌리온(The Hexagon)의 건축 디자인은...

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2008-12-09 | 동전 한 닢 USB 드라이브

영락 없이 동전의 모습을 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라시의 ‘커런키’입니다. 기술 중심의 제품군에 기반한 브랜드이지만, 라시는 성능과 안정성 외에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습니다. 5.5 디자이너스에게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디자인을 의뢰한 까닭이지요. 5.5 디자이너스는 USB 드라이브에 아주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동전이라던가 또 열쇠처럼요. 재치 있는 그러면서도 본래 물건의 휴대 습관에 자연스레 편승하는 영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