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Editor’s Comment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미용실 레스이즈모어(LIM; Less Is More)의 아홉 번째 매장, LIM 코드(LIM code)가 도쿄 하라주쿠에 들어섰다. 살롱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2005년부터 LIM과 인연을 맺어온 아이솔레이션 유닛(Isonlation Unit)이 맡았다. 

디자이너 테루히로 야나기하라(Teruhiro Yanagihara)는 이번 작업에서, “마무리 덜 된” 느낌을 핵심 콘셉트로 삼았다. 노출콘크리트 인테리어는 이미 많은 이들에게 익숙하다. 하지만 LIM 코드의 실내는 일반적인 노출콘크리트 콘셉트의 것보다 조금 더 거칠다. 기존 벽과 바닥을 모두 뜯어낸 상태가 곧 미용실의 인테리어가 되었기 때문. 콘크리트 바닥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입히고 내부에 푸른 컨테이너를 들여놓은 외에는, 거의 날것 그대로의 실내 개념이다. 

인더스트리얼 헤어 살롱이라 해야 할까? LIM 코드는 날것의 콘셉트로 하라주쿠의 패션 자의식 넘치는 젊은이들을 유혹한다. 더불어 이 거친 인테리어는 “큰 야심을 품고 과감히 상경한” 신인 스타일리스트들이 활동할 무대로서도 손색 없다. “LIM 코드는 이 숍을 이끌 활기넘치는 젊은 스태프들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테루히로 야나기하라의 설명이다. 

www.isolationunit.info
http://teruhiroyanagihara.jp

via fram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0-09-07 | 신규 소장품입니다

2010년 미국의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새로운 소장품 다섯 점을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신규 소장품: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다섯 점의 작품들은 이른바 데스크톱-디자인 시대 이후의 작품들이 주를 이루지만, 1960년대 빔 크라우벌이 보여주었던 디지털 시대 이전의 서체 실험까지도 포용합니다.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