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4 | 필립스, 미래의 식생활을 상상하다

Editor’s Comment

지금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지만,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는 당대의 사회적 흐름을 주시하여 가능한 미래 생활의 양상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2009년도의 주제는 ‘음식’이었는데요. ‘디자인 프로브’는 개개인 맞춤형 식생활을 가능케 하는 부엌, 음식을 출력해 내는 프린터, 거실로 옮겨온 텃밭과 양식장이라는 세 가지 미래 식생활의 콘셉트를 제시했습니다. 

필립스 디자인, 음식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s)’ 프로그램, 그 최신 주제는 바로 음식이다. 디자인 프로브는 정치, 경제, 환경, 기술, 문화 등 주요 영역에서 출현하는 사회적 트렌드를 주시하며, 그 가운데 미래의 전환이 될 수도 있을 “미약한” 신호들을 찾아, 연구하고 가능한 미래의 형태를 상상해 제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에 필립스 디자인 프로브가 주목한 테마는 음식. 필립스 디자인은 음식이 우리의 식탁에 도달하기까지 어떠한 과정들을 거치는지, 또 그 음식물을 우리는 어떠한 방식으로 섭취하는지에 주목했다. 이러한 과정에는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이 연관되어 있는데, 가령 치료제가 아닌 예방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식은 훌륭한 예방약이라는 인식이 높아졌다. 여기에 유기농 작물에 대한 선호, 유전자 조작 작물에 대한 우려, 농작지 사용 패턴, 식량 부족 및 농작물 가격 상승 등의 이슈들도 감지된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들 사회적 트렌드를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의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진단 부엌(Diagnostic Kitchen)

‘진단 부엌’은 개개인의 필요에 맞춘 정확한 식단을 제공한다. 필요한 영앙 성분을 효율적으로, 또 정확하게 섭취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브는 미래의 부엌에 음식 스캐너와 분석 센서를 들여 놓았다. 일일 권장 섭취량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넘어, 개별 음식의 성분을 분석하여, 맞춤형 식이 생활을 가능케 한다. 

음식 출력(Food Printing)

“분자요리가(molecule gastronomist)”라 불리는 요리사들은 요리를 분자 단위에서 사고하며, 조리를 음식의 분해 및 재조립의 과정으로 전환시켰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와 같은 아이디어를 좀 더 발전시켜, ‘음식 프린터’라는 콘셉트를 내놓았다. 마치 3D 프린터처럼, 이 프린터는 주요 식이 성분들을 재료로, 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여 음식을 완성한다.

거실 농장(Home Farming)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점차로 커져가는 요즘, 텃밭은 간단하게나마 안심할 수 있는 먹거리를 키우는 좋은 방법이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 텃밭을 거실 안으로 옮겼다. ‘거실 농장’은 생태계의 축소 버전과도 같아서, 생선, 갑각류, 해조류에서 식물까지 이 모두를 실내 안에서 기를 수 있는 기기를 제안한다. 

필립스 디자인의 이들 콘셉트는, 작년 10월 개최된 더치디자인위크에서 첫 선을 보였고, 이후 세컨드라이프 및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서도 공개되었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중산층의 잇템 #3 뜨개질 : 취미로서의 노동

말레이시아 여행을 갔을 때였다. 한국 돈으로 5,000원도 하지 않는 금액의 진주 귀걸이를 발견했다. 아무리...

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전시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

영국 런던 디자인뮤지엄(Design museum)에서 2022년 10월 16일까지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WEIRD SENSATION FEELS...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