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22 | 토르트 본체, RCA 제품디자인과 학과장에

Editor’s Comment

“그가 최근에 RCA 제품디자인 학과장이 된 것 아시죠?” 2009년 아르테크니카의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인터뷰 중에 언급했던 그 소식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가 2009년 RCA 제품디자인 과정 학과장에 선임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온 그는 RCA의 제안을 수락하며, 스튜디오를 처음 열었던 도시인 런던으로 돌아와, 2013년까지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Tord Boontje)가 RCA 제품디자인(Design Products) 학과장으로 부임한다. 지난 6월 19일, RCA는 토르트 본체의 교수 임용 및 학과장 선임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토르트 본체는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로,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벤을 졸업한 뒤, RCA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았다. RCA와의 인연은 2000년 다시 한 번 이어졌는데, 제품디자인 과정의 지도 교수(tutor)로서, 학생들을 가르친 바 있다. 하지만 4년 뒤인 2004년, 자신의 이름을 건 디자인 스튜디오, ‘스튜디오 토르트 본체’를 설립하며 학교를 떠났다.

이후 스튜디오 활동을 통해 토르트 본체는 그 동안 특유의 장식성으로 “반-미니멀리즘” 디자인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왔다. 그의 프로젝트는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디자인에서 세계 곳곳의 지역 수공예 장인들과의 작업을 망라하고 있으며, 제품, 가구, 텍스타일, 건축, 그래픽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약해 왔다.

RCA의 총장 크리스토퍼 프레일링은 토르트 본체에 대해 “최고 디자이너로서의 날카로운 통찰과, 디자인 스튜디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얻은 리더십을 고루 갖춘 인물인 동시에, 무엇보다도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강력한 배경을 갖춘 인물”이라 설명하며, 그의 재능이 RCA 제품디자인과의 발전을 가져오리라 강한 기대감을 밝혔다. 토르트 본체는 RCA 제품디자인과의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전통 속에서, 더욱 새로운 문화를 세워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RCA 제품디자인과의 새 학과장 토르트 본체는, 오는 7월부터 론 아라드의 뒤를 이어 RCA 제품디자인과를 이끌게 된다.

www.rca.ac.uk
www.tordboontj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나사, 3D 프린팅을 활용한 화성 탐사 시뮬레이션 건축

건축 관련 3D 프린팅 기술로 유명한 아이콘(ICON)사에서 2015년에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마션(The Martian)’에서 영감을 받아 화성의 서식지 ‘마스 듄 알파’(mars dune alpha)를 제작했다.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11-08-03 | 앱솔루트 블랭크

앱솔루트 병 모양의 캔버스 위로 20인의 차세대 아티스트가 작업을 펼쳤습니다. 회화에서 영상, 조명 인스톨레이션까지, 각자 “자신의 것”을 선보였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앱솔루트가 전개했던 ‘앱솔루트 블랭크’ 캠페인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