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22 | 토르트 본체, RCA 제품디자인과 학과장에

Editor’s Comment

“그가 최근에 RCA 제품디자인 학과장이 된 것 아시죠?” 2009년 아르테크니카의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인터뷰 중에 언급했던 그 소식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가 2009년 RCA 제품디자인 과정 학과장에 선임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온 그는 RCA의 제안을 수락하며, 스튜디오를 처음 열었던 도시인 런던으로 돌아와, 2013년까지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Tord Boontje)가 RCA 제품디자인(Design Products) 학과장으로 부임한다. 지난 6월 19일, RCA는 토르트 본체의 교수 임용 및 학과장 선임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토르트 본체는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로,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벤을 졸업한 뒤, RCA에서 산업디자인 석사학위를 받았다. RCA와의 인연은 2000년 다시 한 번 이어졌는데, 제품디자인 과정의 지도 교수(tutor)로서, 학생들을 가르친 바 있다. 하지만 4년 뒤인 2004년, 자신의 이름을 건 디자인 스튜디오, ‘스튜디오 토르트 본체’를 설립하며 학교를 떠났다.

이후 스튜디오 활동을 통해 토르트 본체는 그 동안 특유의 장식성으로 “반-미니멀리즘” 디자인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왔다. 그의 프로젝트는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디자인에서 세계 곳곳의 지역 수공예 장인들과의 작업을 망라하고 있으며, 제품, 가구, 텍스타일, 건축, 그래픽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약해 왔다.

RCA의 총장 크리스토퍼 프레일링은 토르트 본체에 대해 “최고 디자이너로서의 날카로운 통찰과, 디자인 스튜디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얻은 리더십을 고루 갖춘 인물인 동시에, 무엇보다도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강력한 배경을 갖춘 인물”이라 설명하며, 그의 재능이 RCA 제품디자인과의 발전을 가져오리라 강한 기대감을 밝혔다. 토르트 본체는 RCA 제품디자인과의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전통 속에서, 더욱 새로운 문화를 세워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RCA 제품디자인과의 새 학과장 토르트 본체는, 오는 7월부터 론 아라드의 뒤를 이어 RCA 제품디자인과를 이끌게 된다.

www.rca.ac.uk
www.tordboontj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2-14 | PET병 샹들리에

샹들리에는 넉넉함을 요구하는 조명입니다. 늘어뜨리고도 남을 만한 시원한 높이와 적지 않은 조명의 용적을 품을 너른 공간의 호사를 필요로 하지요. 실제로 여러 샹들리에가 그러한 호사를 호화로운 외양으로 과시합니다. 하지만 스튜어트 헤이가스는 샹들리에를 향한 보통의 기대를 충족하면서도 비틀곤 합니다. 그의 샹들리에에서는 파도에 휩쓸려온 쓰레기라던가 값싼 플라스틱 잡동사니 같은 의외의 재료가 무리를 짓습니다. 그리고 2007년 그가 디자인 마이애미/의 퍼포먼스를 위해 선택한 재료는 공항에서 수거한 PET병이었지요. 

2006-09-21 |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모델

세계 최초의 탁상용 조명 앵글포이즈가 탄생 70주년을 맞아 몸집을 키웠습니다. 어느 정도냐면 탁상 위를 벗어나 야외로 옮겨갈 정도로요. 2006년 100% 디자인 런던에서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가정용인 1227 모델의 세 배 크기로, 높이가 약 2.4m에 달하는 대형 모델이었습니다.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2010-02-23 | 건축가 2인의 회계 장부

2007년 금융위기가 몰고온 경기 침체는 건축계에도 몰아닥쳤습니다. 2009년 <빌딩 디자인>은 두 유명 건축사무소의 2008-2009 회계년도 매출을 공개하며, 침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자하 하디드 건축 사무소의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1/3 수준으로 급강하했고, 데이비드 아디아예는 지급 불능 상황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 아디아예 사무소는 워싱턴 D.C.에 세워질 스미소니언으 흑인역사문화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되며, 기사회생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