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Editor’s Comment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1859년 미하엘 토네트(Michael Thonet)는 ‘14’라는 이름의 곡목(bentwood) 의자를 만들었다. 토네트 자신은 상상할 수 있었을까. 최초의‘대량생산’ 가구로서, 19세기 20세기를 지나 21세기에도 여전히 사랑 받는 의자가 되리라고 말이다. 이제는 ‘214’라 불리는 이 의자가 올해로 탄생 150주년을 맞이한다. 

‘214’는 토네트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커피하우스 의자”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약 5천만 개가 생산 판매되었다. 이 의자는 6개의 부품과 한줌의 나사만으로 완성되는데, 초창기에는 플랫팩 방식으로 제작되어, 세계 곳곳으로 손쉽게 수출할 수 있었다. 게다가 대량생산 공정 덕분에 제품의 가격 역시 합리적이었고, 그만큼 폭넓은 소비자 층에 소구했으며, 품질 역시 훌륭해 세대를 거듭하며 물려 사용되었다. 실제로 현재 사용되는 ‘214’들 가운데 상당수가 19세기에 생산된 제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214’의 진정한 매력은, 구부러진 나무가 만들어내는 단순 명쾌한 미학이다. “나무를 구부리는 선구적인 기법으로 탄생한 형상들이 빚어내는 미묘한 하모니. 그것이 이 의자를 시간을 초월한 고전으로 만들었다.” 부룰렉 형제의 말이다. 

<크리에이티브 리뷰> 블로그에 따르면, ‘214’ 탄생 150주년을 맞는 올해 약간의 변형을 추가한 또 하나의 특별한 ‘214’인 ‘214k’도 시판될 예정이라고. 역시 1859년 미하엘 토네트가 디자인한 ‘214k’는 의자 다리에 ‘매듭’을 더한 버전이다. 그야말로 곡목 의자다운 비틀기가 아닐지. 

www.thone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30 | 달에 빌다

2011년 3월 11일 오후, 진도 9.0의 강진이 쓰나미와 함께 일본 동부 해안을 강타했고, 그 여파로 원자력 발전소마저 폭발했습니다. 유례 없는 재난과 재앙이 한창이던 3월 19일, 밤하늘에 유난히 커다란 보름달이 떠올랐습니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슈퍼문의 밤이었습니다. 캄캄한 현실 속 희망의 등불처럼 떠올랐던 그 달의 기억을, 노자이너가 조명으로 재현하였습니다. 달을 빼어닮은 노자이너의 LED 조명 ‘달’입니다.

BBC ‘새’ 로고 디자인 논란

2021년 상반기, BBC가 새 로고를 공개한 후, 세금 낭비라는 항의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2007-12-14 | PET병 샹들리에

샹들리에는 넉넉함을 요구하는 조명입니다. 늘어뜨리고도 남을 만한 시원한 높이와 적지 않은 조명의 용적을 품을 너른 공간의 호사를 필요로 하지요. 실제로 여러 샹들리에가 그러한 호사를 호화로운 외양으로 과시합니다. 하지만 스튜어트 헤이가스는 샹들리에를 향한 보통의 기대를 충족하면서도 비틀곤 합니다. 그의 샹들리에에서는 파도에 휩쓸려온 쓰레기라던가 값싼 플라스틱 잡동사니 같은 의외의 재료가 무리를 짓습니다. 그리고 2007년 그가 디자인 마이애미/의 퍼포먼스를 위해 선택한 재료는 공항에서 수거한 PET병이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