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21 | 루빅스 큐브로 만드는 글자

Editor’s Comment

 ‘학생들의 디자인’은 주요한 뉴스 유형 중 하나입니다. 2009년의 오늘자 뉴스도 여기에 속하지요.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 졸업을 앞두었던 예비 타이포그래퍼 야스 바쿠는 루빅스 큐브를 폰트 생성기로 변형시켰습니다. 놀이의 즐거움을 간직한 디자인으로, 그해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던 작업입니다. 

레고나 루빅스 큐브처럼 오랫동안 널리 사랑받아 온 장난감들은, 종종 새로운 디자인 오브제가 되어 등장하곤 한다. 누구에게나 익숙한 물건인 만큼, 재해석의 묘미도 남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 야스 바쿠(Jas Bhachu)는 루빅스 큐브로 ‘글자 스탬프’를 만들었다. 

이름하여 ‘폰트 제너레이터’로, 보통의 루빅스 큐브에 고무로 여러 도형을 볼록하게 붙여 만들었다. 큐브의 4개 면에 부착된 이 고무-도형들은, 조합하는 방식에 따라 알파벳 글자를 이루게 된다. 친절한 설명서에 따라 큐브를 이리저리 돌려 맞춰 원하는 글자를 만들고, 글자가 완성되면 잉크를 발라 종이 위에 찍어내면 된다. 루빅스 큐브로 즐기는 폰트 놀이. ‘루빅스 큐브 폰트 제너레이터’의 주인공 야스 바쿠는,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에서 그래픽 아트를 전공중인 학생으로, 올 가을 졸업을 앞두고 있다고. 

이름하여 ‘폰트 제너레이터’로, 보통의 루빅스 큐브에 고무로 여러 도형을 볼록하게 붙여 만들었다. 큐브의 4개 면에 부착된 이 고무-도형들은, 조합하는 방식에 따라 알파벳 글자를 이루게 된다. 친절한 설명서에 따라 큐브를 이리저리 돌려 맞춰 원하는 글자를 만들고, 글자가 완성되면 잉크를 발라 종이 위에 찍어내면 된다. 

루빅스 큐브로 즐기는 폰트 놀이. ‘루빅스 큐브 폰트 제너레이터’의 주인공 야스 바쿠는,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에서 그래픽 아트를 전공중인 학생으로, 올 가을 졸업을 앞두고 있다고. 

www.jashands.com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2011-02-07 |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 수상자

2021년 크리스토퍼 케인의 여성복 S/S 컬렉션은 그림들을 입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케인은 코로나19가 강제한 록다운 시기에 그림들을 그렸고, 그림은 프린트가 되어 그의 컬렉션을 이루었죠. 오늘 소개할 옛 뉴스는 그가 유망 디자이너였던 시절의 소식입니다. 2008년부터 브리티시 패션 카운슬은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라는 이름으로 유망한 패션 디자이너의 성장을 지원해왔는데요. 2011년도 수상자가 바로 크리스토퍼 케인이었습니다. 

2007-12-28 | 잊혀진 의자들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은 영국 던디대학교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학과 재학생들이 만든 온라인 박물관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인터랙션 고고학자”가 되어, 한때 존재했으나 지금은 사라진 과거의 커뮤니케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기기들을 연구하고 발굴하였고, ‘잊혀진 의자들’도 그렇게 태어난 전시 중 하나입니다. 아쉽게도 지금은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 웹사이트도 전시 페이지도 사라졌지만, 오늘의 옛 뉴스를 통해 강령술 의자에서 조명 쇼 의자까지, 잊혀졌던 기묘한 의자들을 다시 만나 봅니다.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