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07 | 버크민스터 풀러 공모전 수상작

Editor’s Comment

MIT 학생들이 제안한 도시형 모빌리티 디자인이 2009년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받았습니다. 스쿠터, 미니카 등 개인용 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대여 시스템과 충전 설비에 이르는 너른 시야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0년을 훌쩍 앞서 ‘공유 모빌리티’의 오늘을 앞서 엿본 ‘SPM/MoD’입니다. 

MIT 재학생들이 내놓은 도시형 이동 시스템 아이디어가,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개인 이동 수단 및 대여 시스템(SPM/MoD; Sustainable Personal Mobility and Mobility-on-Demand Systems)’을 제안했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새로운 이동 수단 디자인이다. ‘시티카’, ‘로보스쿠터’는 모두 전기로 주행하는 초소형, 초경량 차량이다. 심지어 자동차와 스쿠터 모두 접이식 디자인을 채택해, 공간 효율도 최대로 높였다. 하지만 ‘SPM/MoD’가 그저 더 작고 더 친환경적인 시티카 디자인에 머무는 것은 아니다. MIT팀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들 운송 수단의 대여 시스템까지 제안한다. 시내 곳곳에 이들 자동차 및 스쿠터 대여소를 설치, 어느 곳에서나 차량을 픽업하고 반납할 수 있다. 대여소에는 충전 시설도 갖춰져 있는데, 태양광, 풍력, 지열 등 대안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고질적인 교통혼잡, 대기오염과 같은 문제에 대해,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곤 한다. ‘SPM/MoD’는 버스나 지하철 대신 승용차, 스쿠터와 같은 개인교통 수단을 근간으로 삼는다. 보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개인교통수단을 기반으로 한 공공 이동 시스템이라 말할 수 있다.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 심사위원단은 ‘SPM/MoD’가 기존의 생활 양식을 다시 고려하는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다고 평했다.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 최고상을 수상한 ‘SPM/MoD’는 MIT의 교수 윌리엄 J. 미첼의 지도 하에, 학부생에서 대학원생, 연구원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 9인이 팀을 이뤄 내놓은 작품이다. 이들 팀에게는 10만 달러의 상금도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6월 6일 시카고 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다. 


http://challenge.bfi.org/winner_2009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1-30 | 스튜디오 욥 모노그래프 출간

스튜디오 욥이 걸어온 디자인 여정이 한 권의 책에 담겼습니다. 장식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 혼성 디자이너 듀오에 관한 첫 번째 연구서가 2010년 리졸리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습니다. 이름하여 〈북 오브 욥〉, 즉 〈욥기〉에서 그들은 성서 속 인물의 이름과 스튜디오의 이름이 같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두 개의 욥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런던 지하 대피소 경험: ‘비밀 대피소 챌린지’

런던 교통 박물관(London Transport Museum, 이하 LTM)과 게임 개발사 뮤세미오(Musemio)가 어린이를 2차 세계대전의 지하...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