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07 | 버크민스터 풀러 공모전 수상작

Editor’s Comment

MIT 학생들이 제안한 도시형 모빌리티 디자인이 2009년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받았습니다. 스쿠터, 미니카 등 개인용 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대여 시스템과 충전 설비에 이르는 너른 시야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0년을 훌쩍 앞서 ‘공유 모빌리티’의 오늘을 앞서 엿본 ‘SPM/MoD’입니다. 

MIT 재학생들이 내놓은 도시형 이동 시스템 아이디어가,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개인 이동 수단 및 대여 시스템(SPM/MoD; Sustainable Personal Mobility and Mobility-on-Demand Systems)’을 제안했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새로운 이동 수단 디자인이다. ‘시티카’, ‘로보스쿠터’는 모두 전기로 주행하는 초소형, 초경량 차량이다. 심지어 자동차와 스쿠터 모두 접이식 디자인을 채택해, 공간 효율도 최대로 높였다. 하지만 ‘SPM/MoD’가 그저 더 작고 더 친환경적인 시티카 디자인에 머무는 것은 아니다. MIT팀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들 운송 수단의 대여 시스템까지 제안한다. 시내 곳곳에 이들 자동차 및 스쿠터 대여소를 설치, 어느 곳에서나 차량을 픽업하고 반납할 수 있다. 대여소에는 충전 시설도 갖춰져 있는데, 태양광, 풍력, 지열 등 대안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고질적인 교통혼잡, 대기오염과 같은 문제에 대해,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곤 한다. ‘SPM/MoD’는 버스나 지하철 대신 승용차, 스쿠터와 같은 개인교통 수단을 근간으로 삼는다. 보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개인교통수단을 기반으로 한 공공 이동 시스템이라 말할 수 있다.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 심사위원단은 ‘SPM/MoD’가 기존의 생활 양식을 다시 고려하는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다고 평했다. 

2009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 최고상을 수상한 ‘SPM/MoD’는 MIT의 교수 윌리엄 J. 미첼의 지도 하에, 학부생에서 대학원생, 연구원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 9인이 팀을 이뤄 내놓은 작품이다. 이들 팀에게는 10만 달러의 상금도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6월 6일 시카고 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다. 


http://challenge.bfi.org/winner_2009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0 | 플립플랍 이야기

누군가 신다 슬쩍 버린 플립플랍이 먼 나라의 해변까지 흘러듭니다. 이 무심한 쓰레기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버려진 플립플랍을 수거해 재활용하여 실내 소품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디자인 뉴스는 많고 많습니다. 그렇게 매년 친환경, 재활용을 이야기하는 사이에, 기후 변화는 기후 위기가 되고 말았지요. 공교롭게도 오늘은 네덜란드의 비영리 디자인 단체 왓디자인캔두의 ‘노 웨이스트 챌린지’ 공모전 마감일입니다. 자원을 취해 새 물건을 만들어 곧 내버리는 이른바 “테이크-메이크-웨이스트” 경제의 고리를 끊기 위해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2008-06-09 | 이란의 블로고스피어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는 다소 낯선 주제의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다룬 하버드 버크먼 인터넷과 사회 센터의 연구 내용인데요. 2000년대 블로그는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의 근거지였고, 그러한 블로그들의 연결 집합체인 블로고스피어는 거대한 온라인 생태계였습니다. 14년 전 오늘의 소식은 한 국가의 블로고스피어가 어떤 식으로 지도화되는지 그 안에서 어떠한 주제와 이슈가 등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그 국가가 이란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