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Editor’s Comment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다음 달이면 전 세계 톱숍 매장에서 브랜드 명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만날 수 있다. 수많은 워너비들을 지닌 패션 아이콘과 패션 브랜드의 만남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하나의 이름이 브랜드의 이름으로 변모하는 과정, 즉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기회는 그리 흔치 않다. 

케이트 모스가 지닌 독특한 지위란, 그녀가 형언할 수 없이 아름다워서 시대의 아이콘이 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있다. 그녀를 돋보이게 하는 요소는 일종의 불완전함이었다(가령 우리는 모델로서 너무 작은 키, 여성미를 드러내기에는 너무 마른 몸 등을 떠올릴 수 있다). 케이트 모스를 브랜드화 하고자 한다면 바로 이 독특한 지점들을 부각해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리뷰에 ‘케이트 모스가 브랜드 명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흥미로운 리포트가 게재되었다. 장식미가 깃든 복고적인 서체로 쓰여진 ‘Kate Moss’ 로고는, 그래픽 디자인 계의 거장 피터 사빌(Peter Saville)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Paul Barnes)의 공동 작품이다. 

피터 사빌은 “케이트 모스라는 아이덴티티에 관한 수많은 표현물을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절실했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비단 톱숍과의 협업으로 구체화된 의류 브랜드뿐만 아니라, 그녀가 운영하는 모델 에이전시 스톰(Storm)의 대외 활동과도 연관되어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작업을 위해 피터 사빌은 그녀의 서명을 로고화해볼까 하는 아이디어를 실험해보았다고 한다. 하지만 결과물이 썩 만족스럽지 못했고 결국 알맞 서체를 찾아보기로 결정한 후,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를 찾아갔다. 이 두 사람은 한 가지 문제에 부딪혔다. ‘Kate’라는 단어에 어울리는 폰트들은 상당히 많았다. 문제는 ‘Moss’였다. “Moss는 모스 브라더스, 내셔널 트러스트 토지 운동 등 엉뚱한 뜻을 연상시키며 본래의 의미에서 미끄러지기 일쑤였다”.

그러다 폴 반즈는 과거 언젠가 작업에 사용해 보리라 기억해두었던 한 서체를 떠올리게 되었다고. (1934년부터 57년까지 <하퍼스 바자>의 아트 디렉터로 일했던 전설적인 인물) 알렉세이 브로도비치(Alexey Brodovitch)가 디자인한 서체가 그것이다. 폴 반즈는 “장난 삼아 한 번 이 서체를 써봤는데, 실제로 결과가 상당히 괜찮았다. 기교가 많으면서도 여전히 모던한 느낌을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케이트 모스 개인이 지닌 어떤 특징과 유사했다.” 그리고 케이트 모스 역시 20개의 시안 중에 숨어 있던 이 디자인을 단번에 선택하였다. “이게 바로 내가 원하는 거예요.”

브랜드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표현하기 위한 두 디자이너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하나의 인명이 브랜드명이 될 때 그 안에 어떠한 요소들이 담기게 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케이트 모스라는 개인의 정체성, 그녀의 이름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방식, 구체적인 패션 브랜드로서 이 브랜드가 표방하는 개성 등은 기본이다. 물론 ‘그래픽’의 관점에서 바라본 두 개의 단어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평가도 흥미롭다. 결국 이들은 아이콘으로서의 케이트 모스 개인과, Moss라는 까다로운 단어마저 멋지게 소화하는 서체를 찾아냈다. 복고적인 느낌에, 약간은 변덕스러운 듯 하면서 세련된 그러한 서체를 말이다. 

[Creative Review] Kate Moss: The Bran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6-22 | 토르트 본체, RCA 제품디자인과 학과장에

“그가 최근에 RCA 제품디자인 학과장이 된 것 아시죠?” 2009년 아르테크니카의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인터뷰 중에 언급했던 그 소식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가 2009년 RCA 제품디자인 과정 학과장에 선임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온 그는 RCA의 제안을 수락하며, 스튜디오를 처음 열었던 도시인 런던으로 돌아와, 2013년까지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인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2008-09-23 | 허브 스탠드

오늘은 소품 소식입니다. 집에서 간단한 채소를 길러 먹는 홈파머를 위한 주방 소품 ‘허브 스탠드’입니다. 노르만 코펜하겐에서 선보인 이 제품은 여러 종류의 채소를 나눠 기를 수 있는 여러 개의 화분과 수확을 위한 가위가 한묶음을 이룹니다. 홈파밍에 대한 관심은 2020년 팬데믹을 지나며 한층 커졌다고 하지요. 가전 제품의 형태로 나아간 가정용 식물재배기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