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30 | 무가치한 화폐의 비극적 풍경 

Editor’s Comment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100억을 가지고도 계란 하나 살 수 없다면.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짐바브웨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심지어 100조라는 천문학적인 단위의 지폐까지 등장하여, 교환가치를 상실해 버린 화폐의 비극을 증거하고 있다. 

“무가베 씨 덕분에 이 돈으로 벽을 바르네요.” 2009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시에 난데없는 ‘감사 벽보’가 나붙었다. TBWA가 제작한 <짐바브웨 신문>의 광고물이다. 1.5x5m 크기의 이 벽보는 오로지 짐바브웨 달러 지폐로만 제작되었다. 

이러한 벽보가 등장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최악의 독재자 무가베는 사치품의 수입 관세를 55% 인상했다. 이들 사치품목 가운데는 어째서인지 종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조치는 신문사들에게는 직격탄이 되었다. 종이조차 살 수 없는 상황에서 과연 어떻게 신문을 발행한단 말인가? 

TBWA가 맡은 이번 <짐바브웨 신문> 캠페인은 일반적인 홍보를 넘어, 짐바브웨의 비극을 정면으로 겨냥한다. 교환가치를 잃어버린 지폐에 남은 것은 종이로서의 사용가치뿐. TBWA의 이번 캠페인은 짐바브웨가, 짐바브웨의 언론이 처한 현실을 꼬집고 있다.  

아트디렉터: 셸비 스몰러, 나디아 로스고트(TBWA)
카피라이터: 레이첼 배스킨(TBWA)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니콜라스 헐리, 데이먼 스테이플턴(TBWA)

www.tbwa.co.za
www.thezimbabwean.co.uk

via yatzer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10-09-28 | 집전화기입니다

풍크트는 2008년 뛰어난 디자인으로 오래 사랑받을 디자인의 일상적 전자제품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스위스의 회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선보인 첫 번째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였고,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영입한 디자이너는 재스퍼 모리슨이었습니다. 풍크트는 이후로도 무척 단정한 모습의 USB 충전기, 멀티탭, 물리 키패드를 여전히 지닌 휴대폰, 알람 시계 등을 통해 단순함을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팬톤, 사상 최초의 ‘스킨톤 가이드’ 공개

팬톤은 새해를 맞이하여 최근 개발 중인 컬러 ‘팬톤 스킨톤 밸리데이티드(Pantone SkinTone Validated)’를 공개했다. 팬톤은...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