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Editor’s Comment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멕시코 출신의 영디자이너 크리스티안 비방코(Christian Vivanco)[1]. 며칠 사이, 그의 최근작인 ‘잃어버린 도시로부터(From a Lost City)’가 여러 디자인 매체에 소개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구조의 선반장에 들어찬 서로 다른 소재와 크기의 서랍과 박스들은, 어딘가 모르게 엉성한 인상을 준다. 흔히 좋은 디자인의 미덕이라 생각하는 일관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이 무질서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한 마디로 ‘잃어버린 도시로부터’는 빈민촌, 파벨라(favela)의 풍경을 가구로 옮긴 작품이다. 대부분 무허가의 불법 건물들. 이들 주택은 필요에 따라 층이나 계단을 더하며 자라나고, 그렇게 자가-성장하는 주택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광경은 무작위적인 혼란이다. 구불구불한 골목길과 비정형적인 집들이 만들어내는 도시 변두리의 풍경. 크리스티안 비반코는 그 혼란스러운 인상 속에서 ‘잃어버린 도시로부터’의 영감을 얻었다. 

비방코는 나무 막대들로 가구의 기초 구조를 세우고, 여기에 OSB합판, 대나무, 폴리카보네이트 등 여러 가지 소재의 제각각의 상자, 서랍들을 채워 넣었다. 분명 어지럽지만, 함께 어우러지면 ‘따로 또 같이’ 어우러진다. 마치 파벨라의 제각각 집들이, 디자이너의 표현대로“그리드 없는 혼돈의 자유”를 빚어내는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다시 한 번 가구를 들여다보면, 첫 인상과는 반대로 오히려 너무 정돈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될 지도 모른다. 디자이너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월페이퍼*> 매거진의 ‘2009 졸업생 디렉토리’에도 이름을 올린 유망한 신인으로, 현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활동하고 있다. 

www.christianvivanco.com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크리스티안 비반코 -> 크리스티안 비방코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주변적 디자인 #1 가장자리를 밟고서

무엇이 주변적인가 익히 알려졌다시피 디자이너들은 열에 아홉쯤 비주류의 마음을 품고 산다. 창의성을 동력 삼아 먹고...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2011-01-18 | 전시회 ‘큐빅스’

그리드의 입체판이라 해야 할까요? 정육면체를 기본 단위로 삼아 큐브 패턴의 원리를 찾고, 이를 디자인의 방법론으로 삼았던 두 사람이 있었습니다. 얀 슬롯하우버르와 빌리암 흐라츠마는 우표에서 가구까지 큐브 패턴의 응용 가능성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2000년대 들어 뒤늦게 재발견되었는데요. 2011년의 ‘큐빅스’도 그러한 맥락에서 열린 전시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