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Editor’s Comment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오바마 열풍과 함께 일약 스타덤에 오른 디자이너가 있으니, 바로 셰퍼드 페어리(Shepard Fairey)다. 그의 포스터는 뜨거웠던 2008년 대선이 낳은 대표적인 이미지였다. 영리하게도, 삭스 피프스 애비뉴가 2009년 봄 시즌 마케팅 캠페인에 셰퍼드 페어리를 기용했다. 그것도 그의 장기인 프로파간다 스타일을 한껏 살린 ‘소비에트’ 풍 캠페인을 위해!

1월 7일자 <뉴욕타임스>의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Consumers of the World Unite)’는 이 아이러닉한 캠페인에 관해 소개하고 있다. 공개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광고 이미지와 쇼핑백의 모습은 기사의 표현대로 “마치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국의 국영 백화점의 광고가 아닌가” 싶을 정도다. 블랙과 레드의 강렬한 컬러 대비 속에, 쇼핑백에는 러시아 글자처럼 디자인된 서체로 “그걸 원해!”라는 문구가 박혀 있고, 백을 멘 여성의 모습 뒤로 “슬라우치 백으로 무장하라”와 같은 문구가 천연덕스럽게 적혀 있다. 

프로파간다 스타일이라는 말에는 이미 그것이 지녔던 당대의 정치적 의미와는 무관하게 오로지 껍데기로서만 귀환하는 ‘향수주의’의 산물이라는 의미가 깃들어 있다. 그것이 “1940년대 공공사업진흥국의 선전 포스터”이건, 소비에트 프로파간다 스타일의 포스터건 간에 말이다. 그러니 기사 말미의 표현대로 “누군가 삭스 피프스 애비뉴가 빨갱이라 고소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New York Times] Consumers of the World Unite

via NOTCO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2011-10-27 | 파워 오브 메이킹

2010년 YBCA의 ‘테크노크래프트’도 여기 2011년 V&A의 ‘파워 오브 메이킹’도 모두 ‘만들기’를 화두로 삼은 전시였습니다. 대량생산사회의 도래로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났고, 모두가 소비자인 시대에 DIY 문화가 등장했듯, 만들기는 만들 이유가 없어진 사회에서 거꾸로 의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다시 한 번 만들기가 부상했지요. 기술과 결합된 만들기의 양상이 특히 두드러졌던 이 시기, 전시 ‘파워 오브 메이킹’도 오래된 만들기와 새로운 만들기를 고루 조명합니다.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