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Editor’s Comment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오바마 열풍과 함께 일약 스타덤에 오른 디자이너가 있으니, 바로 셰퍼드 페어리(Shepard Fairey)다. 그의 포스터는 뜨거웠던 2008년 대선이 낳은 대표적인 이미지였다. 영리하게도, 삭스 피프스 애비뉴가 2009년 봄 시즌 마케팅 캠페인에 셰퍼드 페어리를 기용했다. 그것도 그의 장기인 프로파간다 스타일을 한껏 살린 ‘소비에트’ 풍 캠페인을 위해!

1월 7일자 <뉴욕타임스>의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Consumers of the World Unite)’는 이 아이러닉한 캠페인에 관해 소개하고 있다. 공개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광고 이미지와 쇼핑백의 모습은 기사의 표현대로 “마치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국의 국영 백화점의 광고가 아닌가” 싶을 정도다. 블랙과 레드의 강렬한 컬러 대비 속에, 쇼핑백에는 러시아 글자처럼 디자인된 서체로 “그걸 원해!”라는 문구가 박혀 있고, 백을 멘 여성의 모습 뒤로 “슬라우치 백으로 무장하라”와 같은 문구가 천연덕스럽게 적혀 있다. 

프로파간다 스타일이라는 말에는 이미 그것이 지녔던 당대의 정치적 의미와는 무관하게 오로지 껍데기로서만 귀환하는 ‘향수주의’의 산물이라는 의미가 깃들어 있다. 그것이 “1940년대 공공사업진흥국의 선전 포스터”이건, 소비에트 프로파간다 스타일의 포스터건 간에 말이다. 그러니 기사 말미의 표현대로 “누군가 삭스 피프스 애비뉴가 빨갱이라 고소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New York Times] Consumers of the World Unite

via NOTCO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08-10-08 | 스트리트 아트 x 사진

“JR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 있습니다. 사진 콜라주 기법 덕분에, 작품을 무료로 온 세상의 벽에 전시하여, 평소에 박물관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끕니다.” 물론 그 세상의 벽 중에는 실제의 갤러리, 뮤지엄들도 포함되지요. 여기 2008년 테이트 모던의 벽이 그러했고, 바로 얼마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천장과 바닥이 그랬던 것처럼요. 

2010-09-06 | 그리기와 소리의 결합

그는 디자이너이자 전자음악가이며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2010년 열린 전시 ‘소리 주입’은 예술과 디자인과 기술이 어우러진 그의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가령 선에 소리를 담는 펜과 선에 담긴 소리를 재생하는 펜이 짝을 이루었던 ‘녹음 & 재생’ 펜처럼요. 유리 스즈키는 2018년 디자인 회사 펜타그램에 파트너로 합류하였고, 그의 존재로 펜타그램의 영역에 ‘사운드’가 더해졌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