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Editor’s Comment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그래픽 디자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익스페리멘털 젯셋(Experimental Jetset)이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독립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로, 헤리트 리트벨트 아카데미 출신의 3인의 디자이너, 마리커 스톨크, 다니 판덴 뒹언, 에르빈 브링커르스는 지난 10여년간 익스페리멘털 젯셋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해 왔다. 이들의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헬베티카에 대한 남다른 애정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 하지만 오늘 소개할 소식은 바로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로운 웹사이트다. 

“우리는 그래픽 디자인이란 언어를 오브제로 변화시키는 일이라 설명하곤 한다. 이 웹사이트의 경우, 정확히 그 반대다. 오브제를 언어로 변화시키려 하는 것이다. 아니 지난 10년간 우리가 만들어낸 모든 오브제들을 들여다 보고, 그것들을 설명하고자 한다는 편이 옳겠다.”

2005년 런칭한 이래, 3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한 www.jetset.nl은 여느 포트폴리오성 사이트와는 다른 모습이다.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번 웹사이트 리뉴얼을 통해 지난 10년 간의 모든 작업을 망라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역시나 총 다섯 가지 메뉴 가운데 아카이브야 말로 가장 공들인 메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www.jetset.nl은 거대한 아카이브와도 같아서, 익스페리멘털 젯셋 스스로도 “이것은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로, 사이트를 통해 그간의 작업을 모두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최고의 성공작뿐만 아니라 최악의 실패작들까지도 말이다”라고 설명한다. 물론 이는 그리 만만한 작업이 아닌 지라, 아카이브에 올라 있는 일부 작품들은 아직 정리하지 못한 채로 남아 있으며, 이 아카이브는 계속해서 현재진행의 시제를 갖게 될 것이다. 

‘헬베티카 / 블루레이(Helvetica / Blu-ray)’, 2008년 4월
– 다큐멘터리 <헬베티카> 한정판 패키징 디자인 

아카이브는 텍스트 버전으로도, 프리뷰 버전으로도 감상할 수 있는데, 특히나 섬네일들로 가득한 프리뷰 페이지는 익스페리멘털 젯셋이 “정말 재미있으니 꼭 살펴보라”고 당부할 정도. 섬네일을 클릭해 들어가면 해당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잇따른다.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작업 세계를 감상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기회가 있을까. www.jetset.nl은 앞으로도 자주 들러보게 될 사이트가 되지 않을지. 

www.jetset.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캠벨 수프, 50년만에 변신

앤디 워홀의 팝아트 작품으로 유명한 캠벨 수프의 캔 라벨이 약 50년 만에 리디자인 되었다....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2009-04-16 | 디지털 콘텐츠의 딜레마

음악이 물리적 매체를 탈피하면, 음반 디자인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2007년 오늘자 뉴스는 jpeg 형식의 커버 이미지 파일만이 남은 현실을 절절히 아쉬워하는 <디자인 옵저버>의 아티클을 소개했습니다. 그야말로 스트리밍의 시대인 지금, 또 하나의 흥미로운 아티클을 덧붙여 봅니다. AIGA의 ‘아이 온 디자인’에 실린 케이팝과 CD 음반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케이팝 신에서 CD는 팬들을 위한 “선물”처럼 채워지고 디자인되고 있으며, CD의 판매고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요.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